내항 1·8부두 사업 면적 42만9천128㎡ 불과 부산 북항 1~2단계 382만5천㎡의 10% 수준 2~7부두도 포함해 ‘문화·상업 등 집적화’ 필수
인천항만공사(IPA)가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추진 방향을 마련한 가운데, 인천시도 이 사업을 민선 8기 핵심인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발을 맞춘다. 다만,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이 원도심 활성화라는 목표를 이뤄내려면 개발 면적 확대를 위한 2~7부두 기능 이전이 과제로 남아 있다.
3일 시에 따르면 최근 행정안전부 산하 지방투자분석센터(LOMAC)에 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시는 타당성 조사를 통해 사업비 총 5천906억원의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재정법 37조 2항에 따라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에 대해서 행안부가 고시한 전문기관으로부터 타당성 조사를 받아야 한다. 시는 타당성 조사를 마치는 대로 인천도시공사(iH)를 비롯한 민간 사업자와 함께 개발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하지만 시가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으로 원도심 활성화를 이뤄내려면 남은 2~7부두로의 개발 면적 확장이 시급하다. 현재 시가 추진하는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면적이 크지 않아 개발의 집적화 효과는 물론이고 사업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 면적은 42만9천128㎡(13만평)로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의 1~2단계 면적을 합친 382만5천㎡(115만9천평)에 비하면 10% 수준에 그친다.
배덕상 인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위원은 “개발 면적이 작으면 ‘주거 용지’ 위주로, 사실상 문화·상업·업무 등의 집적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개발 면적이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집적효과를 가지고 있어야 도시가 자생적으로 발전하고, 자가발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과 함께 2~7부두로의 개발 면적 확대 등을 통해 원도심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4월 항만기본계획과 항만재개발기본계획에 나머지 2~7부두의 기능 이전 내용을 담은 수정 계획을 해양수산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시는 해수부에 2~7부두의 잡화와 양곡·철재·사료 등의 물동량을 북항과 남항 등에 나눠서 기능을 이전하도록 제안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내항 1~8부두를 한꺼번에 모두 재개발을 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개발을 이뤄내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항 지역 관계자들과 협의체를 구성, 장기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시는 내항 1·8부두에 상상플랫폼과 연계한 문화복합시설, 관광용지, 콘텐츠 시설 K-CUBE와 호텔, 주상복합 등을 포함하는 토지이용계획을 해수부에 제출했다. 시는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당초 40만4천163㎡(12만2천473평)인 매각가능용지(가처분 용지)를 2만4천695㎡(7천483평) 늘려 총 42만8천128㎡(12만9천735평)로 신청했다. 이는 매각용지 비율이 종전 45.9%에서 49.8%까지 늘어난 수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