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근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작년 농협의 사내벤처 아이디어로 개발된 한 막걸리가 출시 하루만에 1천600병이 팔리면서 시장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막걸리는 밀로 만들기도 하지만 쌀로 만든 막걸리는 쌀의 특유의 고소하고 깔끔한 맛을 살려 새로운 풍미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막걸리는 쌀막걸리였다. 하지만 1963년 식량으로 사용하기에도 쌀이 부족하던 시기에 정부가 양곡관리법을 통해 술 제조 시 쌀을 첨가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외국산 밀가루를 이용해 만든 밀막걸리가 시장으로 나오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1977년 잠시 쌀로 술을 빚는 것을 다시 허용했으나 1979년 또다시 금지시켰다가 1990년부터 쌀막걸리가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게 됐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국산 쌀을 활용해 막걸리를 제조하고 국산 쌀을 사용하는 제조사는 많지 않은 게 사실이다. 최근 쌀 생산기술 발전으로 생산농지가 줄어들어도 쌀 생산량은 늘어나고 반대로 1인당 쌀 소비가 현격히 줄어들면서 농가소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쌀소비 촉진을 위한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제품 아이디어가 바로 국산 쌀로 만든 막걸리다. 이를 통해 쌀을 소비하고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쌀로 만든 막걸리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시대 트렌드와도 부합한다. 쌀은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막걸리는 소비자들에게 건강한 술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쌀로 만든 막걸리는 지역농가와 협업해 생산되는 제품으로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농가의 쌀을 활용해 생산된 막걸리는 지역 브랜드로 강화돼 지역경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쌀로 만든 막걸리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쌀 소비를 촉진해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소비자들의 건강한 술문화를 함께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