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가평읍 보납산과 늪산을 이어주는 생태통로가 85년 만에 43억여원이 투입돼 연말까지 복원된다.
1일 가평군에 따르면 도로 개설로 수십 년 85년 동안 단절됐던 가평읍 읍내8리 산 91-4번지 일원 보납산~늪산 생태통로 연결 개발 방식을 교량(합성형 라멘교)으로 결정하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연말 완료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 구간에는 도·군비 등 사업비 43억여원이 투입돼 길이 28m, 너비 15m 규모의 생태통로 연결이 육교형으로 개설 및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도로 개설로 단절된 생태적 연결성 통로를 통해 생태계 가치를 복원하고 야생동물의 다양성을 높이는 한편 주민들에게 생태계에 대한 교육·심미적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군은 이 구간이 지난 2022년 6월 경기생태마당 조성사업에 선정된 후 실시설계 용역, 주민설명회, 교량 형식 결정, 특정 공법 선정, 경기도 계약심사, 설계 안정성 검토 등의 행정 절차를 이행해 왔다.
보납산과 늪산은 1914년과 1939년 일제강점기 각각 도로 및 경춘선 철도 개설로 맥이 끊어졌으며 이후 1964년 해당 철도와 인접해 경춘국도가 개설되면서 차량 통행이 현저히 줄어 드는 등 단절 규모가 확대됐다.
현재는 군도 14호선과 레일바이크 노선 등으로 쓰이는 등 활용도가 낮아지면서 지역주민들이 두 산을 연결하는 생태통로 복원의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지난 2004년에도 주민서명운동 등이 추진됐지만 결실을 거두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그간 군은 개발 방식을 놓고 경제성과 역사성, 주민·전문가 의견 등 다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왔다.
군 관계자는 “하부구조 안전성 우수, 미관 및 하부 개방감 양호 등 생태통로로 교량 형식 개발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주민 숙원사업을 조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납산은 경기도내 최고봉이며 경기 오악의 으뜸인 화악산에 뿌리를 두고 있다. 늪산은 백두대간 화악지맥이 북한강과 합수하는 마지막 산으로 산세가 수려해 백사 이항복 선생과 청음 김상헌 선생 등 많은 문객이 칭송한 초연대(超然臺)가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