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선 경기도장애인복지회장
우리 사회는 아직도 중증장애인에 대해 복지 혜택이 필요한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중증장애인도 경제활동을 통해 자립하고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인정과 인식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달 20일 중증장애인에게 받은 문자 내용이다. “회장님 저 누구신지 아시죠? ○○○입니다. 일하고 싶어요. 너무 일하고 싶어요. 궁금해서요. 언제부터 일할 수 있나요? 열심히 일할게요.” 비록 노동 능력을 인정받기 어려운 중증장인이지만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울부짖는 처절한 몸부림으로 느껴졌다.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는 직업을 가지고 살아간다. 예를 들면 식물, 곤충, 동물들도 살아남기 위해 끝없이 먹이를 구하고 쉴 곳을 찾아 이동한다. 사람으로 말하면 생계를 위해 직장에서 일하고 먹고 쉬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사회적 약자인 중증장애인이 본인의 직업적 가치를 찾고 이를 실현하기란 매우 힘든 상황이다. 선택할 수 있는 직업도 많지 않다. 그러므로 중증장애인의 취업을 돕기 위해 사회적,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고 이에 부합하기 위해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도, 법, 실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현재 중증장애인을 위한 상위법 중 하나인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중증장애인의 생산품은 가격이 비싸다, 또는 품질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등 여러 가지 이유에서 이 법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물론 소비자로서는 품질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품질면에서는 일반 기업과 별반 다르지 않다. 다만 생산력이 낮아 약간의 가격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복지적인 측면에서 감당해야 할 일부분이라고 본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증장애인들이 직업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폭넓은 기회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장애인의 자립을 촉진하고 사회적인 통합을 이뤄낼 수 있다. 따라서 중증장애인의 생산시설 확대와 함께 일반 기업에서도 중증장애인 채용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앞으로 중증장애인을 복지 혜택이 필요한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사회적인 시각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정부는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