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평택시가 신국제여객터미널 운영권을 포기했다며 실무형 항만발전 자문기구 구성을 촉구했다.
평택시발전협의회 등 28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평택항정책개발협의회는 9일 오전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국제여객터미널 건립과 카페리 운항이 있었기에 항만기관들 즉 CIQ기관의 평택항 전담기구 설치 및 통관관련 공무원 상주, 평택세관 승격, 평택지방해수청 설치 촉발을 계기로 인천항의 그늘에서 벗어남은 물론 공업항을 탈피해 상업항으로 새로이 태어날 수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운을 띄웠다.
이어 “여객터미널 위탁운영업무처리 예규가 규정하고 있다는 입찰 참가조건은 눈을 씻고 몇 번을 찾아 봐도 없다”며 “입찰 참가조건은 평택시를 배제하거나 토사구팽하기 위해 평택해수청에서 작위적으로 만들어 진 것 아닌가하는 합리적 의심을 할 수 있는데 이를 몰랐다면 무능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본질을 왜곡해 판단을 흐리게 하기 위한 거짓 행정행위”라고 지적했다.
또한 향후 형식적인 항만발전자문위원회가 아닌 전문가적 실무형 신거버넌스 체계를 새롭게 구축해 신국제여객터미날 운영권 상실과정에 대한 전모를 조사하기 위한 가칭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무엇이 문제였는지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평택해수청은 지난 1월 ‘2024~2026년도 평택당진항 신국제여객터미널 운영관리용역’을 공고, 인천항시설관리센터(IPFC)를 선정해 지난 3월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면서 운영권 포기에 대한 시의 사과, 실무형 항만발전 자문기구 구성, 평택해수청과의 관계 재정립 등을 요구했다.
정장선 시장은 “과거 터미널은 평택시가 지었지만 신터미널은 정부 예산으로 건축해 정부가 운영하겠다고 한 것”이라며 “빼앗긴 것이 아니며 앞으로 잘 운영할 것이며 신여객터미널 준공을 계기로 중국 산둥성 옌타이시 등과의 교류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