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가 동서울변전소 건축허가를 불허(경기일보 23일자 인터넷)하면서 수도권 등 국가 차원의 전력 수급 문제를 놓고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 수급 차질부터 3기 교산신도시나 K-스타월드 사업에까지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으로 치닫고 있어서다.
25일 시와 한전 등에 따르면 시가 감일 주민들의 반대 등을 이유로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사업에 대한 건축허가 등을 불허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전력 수급 등을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초고압 송전망의 끝 지점(하남시 감일 동서울변전소)에 HVDC 변환시설이 무산되면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사업을 끝내도 사실상 제 기능을 하기 어렵다.
변환소를 통해 동해에서 들어오는 500kV 초고압 직류 전기를 배전망을 통해 일반 소비처에 보내기 위해선 교류 전기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할 만한 시설이 없어서다.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의 용량은 총 8GW로 이미 착공돼 건설 중인 신가평변환소로 4GW, 동서울변환소로 4GW의 전기가 공급될 예정이었다.
결국 시의 불허 처분으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트 등 계획된 국가 차원 전기공급 일정에 차질이 우려된다.
시는 현재 3기 교산신도시 건설과 미사섬 일원에 K-스타월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수도권 전체 전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0GW의 전력 수요가 예상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한전 측은 23일 기자회견에서 시의 불허 처분과 갈등 조정 등 국가 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 부재 등에 아쉬움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불허 처분 파장과 관련, 시간이 갈수록 비용이 불어날 것으로 보면서 (일정에 맞춰) 준공되지 않을 경우 전력공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신규 사업장인 K-스타월드 등 타 산업단지 전력 공급까지 지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게다가 전력 공급 여부 등에 따라 수도권 3기 신도시와 용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사업 유보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끝을 가늠할 수 없는 형국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또한 현 상황을 엄중하고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시의회는 26일부터 예정된 동서울변전소 행정사무조사 특위를 강행한다.
이번 조사특위 핵심 관전포인트는 주민들의 최대 반발 지점인 ‘옥내화 속에 가려진 증설’ 부문과 관련, 시와 한전 측 입장 확인이다.
한전은 주민설명회에서 증설 등 주민 수용성 확보에 나섰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시는 다소 엇갈리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사업 최초 시점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