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배터리 회수·재활용 체계 없어, 일반 폐기물로 처리… 화재 위험↑ 전체의 40% 중국산 이륜차지만 충전 서비스 등 국산만 이용 가능 환경부 “대책 마련 속도 내겠다”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며 배터리 기반 이동 수단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전기 이륜차는 폐차 시 폐배터리 처리 관련 지침이 없어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전체 전기 이륜차의 40%는 중국산인데, 중국산 전기 이륜차는 배터리 충전 및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터리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없어 배터리 관리를 통한 안전사고 예방이 더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기 이륜차 등록 대수는 6만7천여대다. 또 최근 3년간(2019~2021년) 전기 이륜차 판매량은 2019년 1만2천3대, 2020년 1만4천5대, 2021년 1만8천72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 2022년 기준 환경부 보조급 지급 대상 전기 이륜차는 103종이며, 이 중 37.9%에 해당하는 39종은 중국, 홍콩산이다.
전기 이륜차 보급 증대에 맞춰 화재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발생한 전기차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는 총 612건으로, 지난해는 179건을 기록하며 2019년(49건) 대비 3.7배 늘었다.
같은 기간 전기 이륜차 화재도 2019년 3건에서 지난해 9건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전기 이륜차 보급과 사고 발생 건수는 동반 상승하는 반면, 폐배터리에 대한 처리 규정은 없는 탓에 이륜차 배터리발(發) 화재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기차의 경우 폐차 시 거점 센터에서 폐배터리를 회수, 재활용하는 체계가 구축돼 있다. 하지만 전기 이륜차의 경우 폐차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탓에 대부분 배터리를 일반 폐기물로 처리, 자체 폐차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 이륜차 배터리 수리 업체조차 폐배터리 관리 방안이 없는 탓에 무작정 적재하는 경우가 발생, 화재 위험성을 키우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지역 곳곳에 설치돼 배터리 관리를 돕는 배터리 스테이션도 국내 생산 전기 이륜차만 이용할 수 있어 지역 곳곳을 활보 중인 중국산 전기 이륜차는 배터리 관리가 더 어려운 상태다.
이와 관련, 한국전기이륜차협회 관계자는 “중국산 전기 이륜차는 고정형 배터리로 보급되고 있어 폐배터리 관리가 어렵다”며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가 계속 발생하는 만큼 전기 이륜차 폐배터리의 회수·재활용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 이륜차)폐배터리 회수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관련 법 개정에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기 이륜차, 배터리 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