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장윤정 의원(민주, 안산3)이 어린이집에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AI 푸드 스캐너’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AI 푸드 스캐너는 식판을 촬영, 아이들이 섭취한 음식의 양과 영양 성분을 분석해 학부모 등에게 헬스케어 리포트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이번 추경에 AI 푸드 스캐너를 도내 어린이집 총 100곳에 5대씩 6개월 동안 임대 형식으로 배치하기 위해 3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나 장 의원은 어린이집 아이들의 식습관과 교육 현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교사들의 업무 과중은 물론 급식 분석데이터를 보고 아이의 편식 지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거나 반대로 아이에게 싫어하는 음식을 억지로 먹였다는 이유로 학부모와 교사 간 갈등도 발생할 수 있다”며 교권 침해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어 “AI 푸드 스캐너를 설치, 사용하는 중·고교의 자문 결과 2초 이상 스캔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오히려 퇴식 줄이 길어지고 학생들이 사용을 꺼리는 등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AI를 활용한 유익한 사업도 있겠지만 무분별한 도입은 도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와 관련된 사업은 좀더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기병 AI 국장은 “지난 2019년과 2020년 유엔 세계식량계획에서 AI 푸드 스캐너를 통해 잔반을 최소화하는 성과를 거둬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사례가 있다”고 말한 뒤 “향후 사업계획 수립 시 제기된 여러 우려 사항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