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 의정부 도시발전 마스터플랜 구상 세미나 개최
의정부시를 2035년까지 6개 권역으로 구분해 수도권 북부 중심도시로 발전시킨다는 청사진이 제시됐다.
의정부시가 주최하고 의정부도시공사(이하 도공)가 주관한 ‘2035 의정부 도시발전 마스터플랜 구상 세미나’가 6일 오후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의정부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 열렸다.
이날 도공은 현황분석을 통해 의정부시를 공간적으로 광역거점도시이며, 산업측면에서는 ICT-스마트밸트로 분류했다.
또 도심을 중심으로 도시가 점진적으로 확산했으나 200년대 이후 민락, 고산지구 개발에 따라 새로운 중심이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제도적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 군사보호법, 개발제한구역 등 3중 규제가 중첩돼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인지했다.
지리적으로는 도봉산, 사패산, 수락산 등 산지와 부용천, 백석천, 회룡천 등 하천 등이 흘러 자연접근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했다.
도공은 이를 종합해 ‘경제, 교통, 행정 수도권 북부 중심도시 의정부’를 비전으로 설정했다.
추진 전략으로는 자족기능강화, 공간구조개선, 주거환경조성, 도시이미지 변화를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도공은 1중심, 5권역 등 모두 6권역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권역별 발전 계획안을 설명했다.
1권역은 의정부역세권, 행복로 일대에 GTX, 의정부역세권 중심 컴팩트시티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2권역은 캠프레드크라우드, 종합운동장 일대에 서울동북권, 경기북부 대표 문화레저 공간으로 개발한다.
3권역은 캠프카일 등에 첨단바이오헬스 캠퍼스를 도시개발사업으로 조성한는 안이 담겼다.
4권역은 민락·고산지구 일대에 스마트 서비스 기능을 도입하며, 5권역은 306보충대, 캠프스탠리, 용현산업단지를 반도체, 모빌리티, AI, R&D와 제조단지로 추진한다.
6권역은 캠프잭슨, 예비군훈련장을 헬스케어 서비스, 웰니스 생활환경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김동근 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번 세미나는 의정부의 미래를 논의하는 매우 뜻 깊은 행사”라며 “시민과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의정부시를 수도권 북부의 중심이자 경제·교통·행정의 허브로 만드는 발전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공론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