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박달스마트밸리사업 행정 절차 진행…“사업 속도 내야”

박달스마트밸리 위치도. 안양시 제공
박달스마트밸리 위치도. 안양시 제공

 

안양시가 추진 중인 박달동 제50대 탄약대대를 현대화하는 박달스마트밸리사업이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군부대 탄약고 노후화가 심각한데다 90% 이상이 지상에 위치해 안전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7일 시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군부대 탄약고는 4천여곳으로 평균 노후도는 60%에 달하고 있으며, 도심과의 안전거리 미확보 탄약고 395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지상형이 33%, ECM(Electronic Countermeasure : 상대의 전자기기 성능을 방해하거나 저하를 목적으로 하는 장비) 66%, 지하형 1% 등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최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군부대 탄약고 중 30년 이상 노후한 시설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90% 이상이 지상에 있어 전시뿐만 아니라 평시에도 안전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재래식 탄약고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용도변경에 따른 개발이익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탄약고를 현대화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양시가 추진 중인 박달스마트밸리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안양 만안구 박달동에 위치한 제50탄약대대 탄약고는 시설 노후화가 심각하고, 대부분의 시설 구조물이 콘크리트가 아닌 슬레이트이어 서 안전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안양시는 만안구 박달동 일원 부지 328만㎡(군용지 299만㎡, 기타용지 29만㎡)에 4차산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첨단산업과 주거복합단지 등을 조성하는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군 탄약시설을 지하화해 군에 기부하고 나머지 탄약시설을 국방부로부터 양여받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업 출자비율은 안양도시공사 50.1%, 삼성증권 컨소시엄 49.9% 등이며 사업비 3조여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삼성증권과 안양도시공사 등은 지난 7월 특수목적법인(PFV)과 AMC 회사를 설립하고 현재 국유재산정책심의와 국방시설본부와의 합의각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등의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안양 박달스마트밸리사업이 속도를 내기 위해선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곽동윤 안양시의원은 “안양 박달동에 위치한 제50대대 탄약고는 도심과 인접해 있어 그동안 안전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시는 군 탄약고를 현대화하는 박달스마트밸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선 국토부의 협조가 필요하다. 군부대 탄약고 노후화와 안전을 감안, 행정절차를 빨리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7월 특수목적법인과 AMC 등을 설립했으며 올해 안에 입지 심사를 받아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며 “이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이른 시일 안에 국방부 등 중앙정부와 행정절차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