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국토부에 ‘제2영동연결 민자고속道 전략환경평가’ 검토의견 제출

image
'제2영동연결 민자고속도로' 노선도. 용인특례시 제공

 

의왕~용인~광주를 잇는 ‘제2영동연결 고속도로’ 개설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용인특례시가 국토교통부에 전략환경영향평가(초안) 검토 의견을 제출해 탄력이 붙을 전망이어서다.

 

9일 시에 따르면 지난 8일 국토교통부에 ‘제2영동연결(의왕~용인~광주)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초안)’에 대한 검토 의견을 제출했다.

 

시는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해당 지역 주민의 의견과 공사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사안 등을 담아 국토부에 전달하고 지역주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시가 제출한 의견을 자세히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국토부가 진행 중인 제2영동연결(의왕~용인~광주) 고속도로는 제2경인고속도로 의왕 북청계분기점에서 용인 처인구 모현읍(능원리·매산리·일산리·왕산리)을 거쳐 종점인 제2영동고속도로 경기광주분기점까지 4차로, 32㎞로 계획됐다.

 

국도 등으로 이어진 제2경인고속도로와 제2영동고속도로를 직접 고속도로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풀이된다.

 

시는 이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제2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영동고속도로로 연결돼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높이고 국도 43호선과 영동고속도로(신갈JC~양지IC)에 집중된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앞서 국토부는 민자적격성 조사를 마친 후 전략환경영향평가(초안)와 기후변화영향평가서(초안)를 공람했다. 이어 지난달 26일 평가서를 토대로 모현읍 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소음·분진 피해 방지를 위한 요구와 대책, 고성토와 교각 설치로 인한 마을 분리 및 경관 훼손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개선책과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고속도로 사업 추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시는 사업 필요성 못지않게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판단, 피해 최소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 국토부에 전달했다.

 

시가 반영을 요청한 의견은 ▲주거지역과의 충분한 이격으로 소음 및 분진 피해 방지 ▲주요 간선도로(국도·국지도·지방도 등)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직접 연결 ▲국도 45호선 IC 신규 설치 반영 ▲지역 단절 최소화 및 경관 훼손 방지 ▲학교와 충분한 거리 확보를 통한 학습권 보장 등이다.

 

국토부는 올해 하반기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치고 2029년 상반기 공사에 착수할 계획을 세웠다. 이 공사가 완공되면 인천공항에서 강릉까지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 약 29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제2영동연결 고속도로가 개설되면 용인은 고속도로 접근성이 대폭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사통팔달의 고속도로망을 갖춘 교통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사업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절차가 남아 있는 만큼 국토부와 긴밀히 협의해 사업 대상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