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도시공사와 하남문화재단 등 하남시 산하 기관들에 대한 감사가 형평성 논란에 휩싸였다.
도시공사는 수년간 없었고 문화재단은 2년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도 시행하는 등 균형을 잃고 있어서다.
시는 산하 출연기관인 하남문화재단에 대해 21~25일 종합감사에 나선다. 시 법무감사관실은 이를 위해 14일부터 사전 감사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2년마다 진행하는 정기 종합감사로 기관 운영에 따른 임직원의 복무 및 출연·보조금 등 예산·회계, 공연 등 주요 사업 에 대한 적정성 등을 들여다볼 방침이다. 대상 업무는 2023년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다.
이에 따라 시는 18일까지 시민을 대상으로 재단의 업무 수행과 관련, 시민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사항에 대해 신고(제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2023년 12월 종합감사를 받아 이번 감사는 채 2년도 지나지 않아 받게 됐다.
반면 도시공사에 대한 종합감사는 12월 예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2022년 12월 이후 3년 만으로 채 2년이 되지 않은 문화재단과 비교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게다가 현 공사 사장 재임 동안 사실상 종합감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임기 3년의 현 사장은 2022년 12월 취임, 11월 임기가 만료된다.
사장 등은 과거 도의회 등 정치권 출신 인물로 지난 3년 전 시장선거 당시 현 이현재 시장 당선을 이끈 핵심 인물로 알려져 있다.
종합감사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역 내 야권 등을 중심으로 논란을 낳고 있는 이유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종합감사는 일반적으로 2년마다 하는 게 상례로 도시공사의 경우 3년 만에 예정된 건 석연찮다”며 “이유야 있겠지만 행정은 일반적이고 예측 가능해야 하는 만큼 기관장 임기 동안 한번도 제대로 된 종합감사가 이뤄지지 않으면 시민들의 눈총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진행된 감사원 감사 등을 고려, 공사에 대한 종합감사를 올해 말로 늦춘 것으로 안다”며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일정과 겹칠 수도 있는 만큼 감사 일정을 다소 앞당기는 것이 적절하지 않나 하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