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 팔당호 식수원 보호에 ‘총력’…올해 녹조대책 추진

지난해 8월 드론으로 촬영한 경안천 전경. 한강유역환경청 제공
지난해 8월 드론으로 촬영한 경안천 전경. 한강유역환경청 제공

 

환경당국이 녹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17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수도권 2천600만 주민의 안전한 먹는 물 확보를 위해 ‘2025년 팔당호 녹조대책’을 수립, 본격 대응을 예고했다.

 

올해도 지난해처럼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6~8월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녹조 발생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기록적 폭염으로 수도권 식수원인 한강 팔당호에 6년 만에 ‘관심’ 단계의 조류경보가 14일간 발령된 바 있다.

 

여름철 평균 기온 25.6도, 연간 열대야 일수 24.5일 등으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환경당국은 이에 따라 체계적인 녹조 대응 대책을 마련, 팔당호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안전한 먹는 물을 공급에 주력할 방침이다.

 

주요 대책으로 우선 녹조 원인물질인 총질소(T-N)같은 영양염류의 하천 유입 방지를 위해 각종 오염원에 대한 집중 점검에 나선다.

 

다음달부터 9월까지 공공하수처리장(112곳), 분뇨처리장(10곳)과 함께 골프장, 캠핑장, 개인하수처리시설(200곳)까지 특별점검하고 가축분뇨처리시설도 경기도와 합동으로 점검한다.

 

야적퇴비 관리를 통한 비점오염원 관리도 강화한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달부터 하천변에 부적정하게 적치된 야적퇴비 조사를 시작한데 이어 방치된 야적퇴비 관리와 주민 계도를 강화, 비점오염원 팔당호 유입을 최대한 차단해 나간다.

 

취수구 주변에 조류 차단막을 설치, 조류의 유입을 차단하고 부유 쓰레기를 수거하는 등 취수원 보호책도 진행된다.

 

수질 모니터링을 매주 실시하고 드론을 이용한 항공감시를 운영,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팔당호 상류 사각지대를 주 2회 이상으로 촬영, 오염원 감시와 하천변 순찰을 강화하는 내용이다.

 

팔당 상수원 보호구역에 녹조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자체 비상대응반을 운영하고, 관계기관 대응 태세를 즉시 가동한다. 특히 녹조가 1천셀을 초과하면 즉시 한강수계 수질관리협의회를 운영, 조류 완화·제거장비(조류제거선, 물순환장비 등)를 집중 배치하고, 필요시 환경대응용수를 방류, 녹조 확산 방지에 주력한다.

 

녹조 발생으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정수장의 정수처리 비용 8억원을 지원, 정수장으로 유입된 조류독소와 맛·냄새 물질을 제거해 먹는 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홍동곤 청장은“수도권 주민들이 먹는 물 걱정을 하지 않도록 팔당호 녹조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녹조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수도권 주민의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해 한강청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