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평화와 협력의 상징... 회의 위한 시설·인프라도 충분
“부평 캠프마켓(옛 애스컴시티)은 대한민국의 평화와 협력의 상징적인 장소이기에 이곳에서 ‘APEC 2025 회의’를 개최해야 합니다.”
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국민의힘·부평3)은 지난 8일 “APEC 이라는 중요한 회의를 어떤 장소에서 열 지에 대한 선택은 그 자체로 인천의 국제적 위상을 결정짓는 문제”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이 의원은 “부평 캠프마켓은 어두운 역사의 변동기인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군사시설로 시작,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한 한국전쟁을 거쳐 70여년간 한미동맹의 중심지로 기능한 주한미군의 주요 군사시설이다”고 말했다. 이어 “캠프마켓은 이 자체로 한미동맹의 역사와 대한민국 안보의 상징”이라며 “군사적 의미를 넘어 평화와 협력의 장소로 시민들에게 널리 각인돼 있다”고 덧붙였다.
부평 캠프마켓은 지난 1996년부터 시작한 반환 운동과 2002년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PP)에 따른 부분 반환을 거쳐 2019년 A·B구역을 반환 받았다. 이어 올해는 D구역도 반환될 예정이다.
이 의원은 “캠프마켓은 한미동맹의 역사를 품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협력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로 자리매김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APEC 회의를 이곳에서 한다면 평화와 협력의 상징적 의미를 전 세계에 강하게 발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APEC 정상회의는 오는 10월말~11월초 경북 경주에서 열릴 예정이다. 지난 2005년 부산 정상회의 이후 20년만에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것으로, 인천과 제주에서 분산 개최한다.
이 의원은 “캠프마켓은 회의를 개최하기 위한 시설과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고 있다”며 “회의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안전 관리와 시설 보강 또한 용이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의 중심지와 가까이에 있어 식량안보장관회의에 참석하는 고위급 인사들과 미디어들이 원활하게 회의장에 접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같은 측면에서 부평 캠프마켓은 회의의 실용적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장소”라고 했다.
그는 “캠프마켓에서의 APEC 회의 개최는 회사의 이벤트나 경제적 논의를 위한 장소 선택이 아니다”며 “인천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평화와 협력의 중심지로 강력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 어떤 장소도 부평 캠프마켓 만큼 강력한 상징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인천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