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폐기물 ‘배출 최다’ 경기도… 전국의 25% 집중 [집중취재]

20만t↑ 전국 12곳 중 도내 8곳, 위해성 높은 생활계 유해폐기물
토양·수질오염 등 별도관리 요구 “광역지자체, 인프라 확대·지원을”

image
폐건전지, 폐형광등, 폐농약병 등 생활계 유해폐기물에 대한 경기지역 지자체들의 대응과 관리체계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사진은 생활계 유해폐기물 전용 수거함이 설치되지 않은 한 재활용장(왼쪽)과 외부에 무분별하게 쌓여 있는 생활계 유해폐기물 모습. 조주현기자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생활폐기물을 배출하고 있다. 이 중 일부는 중금속과 유해물질을 포함한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환경오염은 물론 일상 속 건강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경기일보는 생활폐기물 관리 체계와 계획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짚어봤다. 편집자주

 

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생활폐기물을 배출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 중에서도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가장 많은 상위권 지자체가 모두 경기도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일 환경부의 ‘2023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전국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약 1천669만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경기도는 409만8천421톤을 배출해 전체의 24.6%를 차지하며, 단일 시·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양을 기록했다.

 

시·군별로 보면 ▲성남시(37만9천460톤) ▲고양시(33만9천99톤) ▲수원시(31만2천546톤) ▲용인시(31만1천256톤) 등 4곳이 연간 30만톤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30만톤 이상은 통계상 가장 높은 배출 구간으로, 이보다 많은 양을 기록한 지자체는 없다.

 

20만톤 이상을 배출한 기초지자체는 전국적으로 12곳이며, 이 가운데 8곳이 도내 시·군으로 파악됐다. 부천시(26만3천293톤), 화성시(25만3천837톤), 남양주시(21만9천240톤), 안산시(20만9천928톤) 등이 해당된다.

 

또 10만톤 이상 배출한 기초지자체는 전국 53곳으로 이 중 23곳이 경기도에 몰려 있다. 전국 생활폐기물의 4분의 1가량이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셈이다.

 

생활폐기물은 가정, 상가, 사업장 등에서 일상적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로, 종량제 봉투 외에도 음식물류, 재활용 자원, 폐가전, 유해폐기물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폐건전지, 폐형광등, 폐페인트 등은 중금속과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된다.

 

생활계 유해폐기물은 배출량은 적지만 위해성이 높아 적정 처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토양과 수질 오염은 물론 생태계 교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별도 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선 제대로 분리 배출되지 않거나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전용 수거함 부족, 배출 요령 안내 미흡, 통합 처리시설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폐건전지나 폐형광등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 유해폐기물은 주민들이 별도로 배출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는 진단도 있다.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생활계 유해폐기물 안전관리를 위해 인프라 확대와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관련기사 : 계획만 번지르르… 기약 없는 ‘생활계 유해폐기물’ 대책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701580240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