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울변전소 증설 지체, 한계… 동해안 발전소 운영난 심화

한전과 하남시, 민관협치위원회에 돌파구 기대

하남 동서울변전소 현장. 한국전력공사 제공
하남 동서울변전소 현장. 한국전력공사 제공

 

동서울변전소 증설사업 인허가가 장기간 지체되면서 동해안 화력발전소들이 운영위기에 직면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경관디자인 재심 등의 방식으로 결정하지 못한 채 증설인허가를 미루는 하남시도 여론악화 등 대내외적 압박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9일 한국전력공사와 하남시 등에 따르면 강원경제인연합회와 동해경제인연합회는 성명서를 내고 동해안 전력 발전과 송전을 위한 송전선로 건설에 정부의 적극 대처를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동해안에 신축된 삼척의 블루파워(2.1GW), 강릉의 삼성에코(2.1GW)와 동해 GS동해전력(1.2GW) 등은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 지연 등으로 가동률이 10%도 밑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경제도 녹록찮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발전소마다 수천억의 적자가 매년 쌓이고 에너지인 석탄의 수급 중지로 동해항 및 항만들은 유연탄 수입 급감으로 항만은 준공 이후 최악이고 발전소를 유치한 지역은 법적 주변지역지원금은 최저로 떨어지고 있다는 게 이 단체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하남시의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HVDC 증설공사는 허가조차 못 받고 있는 실정임을 들어 깊은 우려를 나타내며 정부를 상대로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

 

특히 하남시를 상대로 국가 이익과 국민을 바라보고 전향적 자세변화를 거듭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송전망 종착지인 하남 동서울변전소 변환설비 증설을 놓고 하남시의 인허가 처리지연이 상당 기간 지체되면서 한전과 하남시 모두,전전긍긍해 하는 모습이다.

 

한전은 송전망 건설 계획이 장시간 지체되면서 안팎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데다 하남시 또한 변전소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섣불리 인허가를 내 주기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주민의견 수렴 등을 이유로 변환설비 경관디자인 심의를 미루고 있지만, 한전 측이 재심을 요청해 올 경우, 더이상 미루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시와 한전. 민관협치 관계자는 “하남시 민관협치위원회는 최근 회의를 열고 오는 17일 동서울변전소 등 현장 방문에 나서기로 했다”면서 “갈등 국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전과 하남시 등 모든 협의 대상이 대안을 모색하는 진일보한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