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병사들, 우크라전 발발 후 HIV 감염 2천% 증가"

'카네기 폴리티카' 보고서
"HIV 발병으로 인한 손실 수십 년 동안 영향 미칠 것"

우크라이나 군사 작전에 참여한 러시아 군인들. 로이터=연합
우크라이나 군사 작전에 참여한 러시아 군인들. 로이터=연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군인들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률이 2천%나 폭증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카네기재단 러시아유라시아센터가 발간하는 온라인 간행물 ‘카네기 폴리티카’는 러시아 국방부 자료를 인용, 이같이 분석했다고 지난 1일(현지 시각)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가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분기부터 2022 가을까지 러시아 군대에서 확인된 HIV 신규 감염 사례는 전쟁 전보다 5배 늘었다. 또한 2022년 말에는 신규 감염 사례가 13배로 늘었고 2024년 초에는 2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군대의 HIV 감염률 급증 원인으로는 ▲수혈 ▲야전 병원에서의 오염된 주사기 사용 ▲성적 접촉 ▲약물 주입을 위한 주사기 공유 등이 꼽혔다. 독립 언론인들은 “특히 성적 접촉과 약물 주사기 공유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HIV 감염률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에서만 감염 사례가 증가한다는 통계도 나왔다.

 

유엔에이즈계획(UNAIDS)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이후 HIV 바이러스 신규 감염자 중 러시아가 3.9%를 차지해 전 세계에서 5위를 기록했다.

 

관련해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잡힌 러시아군은 지난 2023년 4월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나에게 주어진 선택은 전쟁터에서 빨리 죽거나 교도소에서 HIV 바이러스에 감염돼 천천히 죽는 두 가지 길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카네기 폴리티가 보고서는 “HIV 발병으로 인해 러시아가 겪에 될 인구통계학적·경제적 손실 수십 년 동안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얻은 손실을 넘어설 수 있다”고 분석했다.

 

HIV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AIDS)의 원인 병원체로, HIV에 걸렸다고 모두 에이즈 환자는 아니다. 에이즈 환자는 HIV 감염으로 면역세포가 파괴돼 면역기능이 떨어지면서 각종 감염 등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