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줄어 교육 프로그램 축소 등 취지 못살려… 위탁에 혈세 투입 문광국, 경기도 예산의 1.9% 수준 “道 위상에 걸맞게 예산 확대해야”
경기문화재단이 줄어드는 예산과 늘어나는 대행위탁 사업으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고유 사업의 안정성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전문가들은 재정 안정화를 통해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보장하고 광역문화재단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선영 홍익대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는 “이제 뮤지엄이 전시만 하는 시대는 지났다. 관객과의 상호작용, 관객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복합문화공간화 되고 있는데 여전히 경기도립 뮤지엄은 예산 문제로 교육 프로그램까지 줄이며 제자리걸음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관람객은 양질의 전시를 보고 싶어 하고 볼 권리가 있다. 도립 뮤지엄의 예산이 줄어 운영이 어려워지면 도민이 누리는 문화 혜택에 직접적인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또 위탁사업으로 재단의 예산이 외형적으로는 커지고 있지만 정작 해야 할 고유 사업에 집중을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며 “안정적인 인력과 인프라를 뒷받침해 재단의 설립 목적인 ‘문화예술 진흥’ 등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경기도 공공기관의 출연금, 전출금 및 위탁사업비 정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시행에 따른 예산 부족, 낭비 가능성도 제기됐다.
김영호 중앙대 예술대학 명예교수는 “조례의 순기능이 분명 있지만 이미 부족한 예산을 더욱 부족하게 해 박물관·미술관의 운영을 어렵게 한 측면이 있다”며 “특히 보도블록을 깔고 또 깔듯 잉여금을 만들지 않기 위해 예산을 낭비하게 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경기도가 뮤지엄을 직접 운영하다가 경기문화재단에 편입시킨 후 예산 부족 문제가 지속되니 뮤지엄들의 독립운영 필요성까지 거론된다”며 “경기도가 당초 광역 문화재단에 뮤지엄들을 통합하며 추구했던 목적이 있을 것이다. 뮤지엄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여건을 만들어준 다음 효율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경기도가 전국 최대 광역자치단체라는 위상에 걸맞게 뮤지엄을 포함한 문화예술 예산의 확대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를 통해 1천400만 경기도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진각 성신여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는 “올해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의 예산이 총 예산의 1.9% 수준이다. 해당 예산은 인구 대비 매우 낮은 편”이라며 “경기도는 재정 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도립 뮤지엄 등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통해 예산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역사∙문화적 자산을 많이 갖고 있는 곳”이라며 “이 같은 인프라와 가치를 활용해 문화예술 발전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경기도를 더욱 알리는 데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전시도 겨우… 재정난에 허덕이는 도립 뮤지엄 [갈 길 잃은 경기문화재단 上]
https://kyeonggi.com/article/20250804580342
소장품 품앗이·수리는 땜질... 1천400만명 ‘문화 창구’ 처량 [갈 길 잃은 경기문화재단 上]
https://kyeonggi.com/article/20250804580348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