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기후 뉴노멀’ 대비해야

황호영 사회부 차장

image

최근 몇 년 새 우리 사회 곳곳에는 ‘뉴 노멀’(New Normal), ‘새로운 표준’이 자리 잡고 있다.

 

2020년부터 3년 가까이 전국을 휩쓸었던 코로나19는 교육, 업무 등에 ‘비대면’을 정착시켰고 인공지능(AI) 기술은 기업은 물론이고 스마트폰에도 속속 적용 중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극한 호우’라는 또 다른 뉴 노멀을 맞이하고 있다.

 

시간당 수십, 많게는 100㎜가 넘게 내리는 극한 호우도 이제는 몇십년에 한 번 일어나는 기현상이 아니다. 지난달 20일 가평군 일대는 시간당 100㎜의 폭우가 쏟아지며 마을 곳곳은 산사태와 침수로 쑥대밭이 됐다. 남부지방에서는 마을, 읍 전체가 침수되는 사례가 잇따랐다.

 

특히 6일 또다시 극한 호우가 예보돼 수해지역은 그야말로 초주검, 초긴장 상태다.

 

하지만 재난 대응 체계는 기후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경기지역만 해도 오산시에서는 ‘폭우 시 붕괴 우려가 있다’는 시민 신고가 제기됐음에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탓에 지난달 16일 가장교차로 옹벽이 붕괴해 사망자가 발생했다.

 

가평군에서는 극한 호우로 산지 지반이 약화돼 지난달 20일 산사태로 펜션이 붕괴하며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해당 사고는 2020년 일가족 사망으로 이어진 펜션 붕괴 사고와 유사해 산지 건축물 관리 체계가 부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기도 했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은 지금의 하천 범람 기준, 정부와 지자체의 재난 대응 매뉴얼로는 극한 호우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우려한다. 예년 수준을 훨씬 웃도는 폭우가 예측 불가능하게 내리기에 아예 전과 다른 대응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행히 이번 극한 호우를 계기로 현재 정부가 폭우 매뉴얼 보완을 논의 중이라고 한다. 점차 ‘평균’이 돼가는 극한 호우에 충분히 대응해 시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체계가 도입되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