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에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가 부과 대상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 반도체를 제조하는 기업은 이 수입세(관세)의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자동차 및 부품에 적용했던 것처럼 외국에서 생산된 반도체에는 관세가 부과되지만 '미국산 반도체'에는 관세를 적용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제품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 약 100%의 관세가 부과되면 한국 수출 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구체적인 관세 부과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약 14조7천억원)를 기록했다.
명목상으로 지난해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7.5%로, 중국(32.8%)이나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는 낮지만 조립·가공 등의 이유로 대만 등 다른 국가를 거쳐 미국에 수출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한편 블룸버그는 이번 발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아이폰 등 대표 제품의 생산 비용이 많이 늘어날 위기에 처했던 애플과 팀 쿡 애플 CEO에 큰 승리"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에서 "애플은 향후 4년간 미국에 6천억 달러(832조원)를 투자할 것임을 발표하고 있다"며 "이는 애플이 당초 투자하려던 것보다 1천억 달러 많은 것"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