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10개 만들기, 인천대는 왜 빠졌나”… 인천경실련, 李대통령 정책 보완 촉구

인천대학교 전경. 인천대학교 제공
인천대학교 전경. 인천대학교 제공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학교 10개 만들기’ 공약에서 인천대학교 제외는 교육 역차별이라며 대상 포함을 촉구했다.

 

7일 인천경실련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공약으로 서울대급 거점국립대 10곳을 육성하겠다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9개 권역의 거점국립대에는 집중 재정지원을 예고했다. 그러나 인천대는 수도권에 있다는 이유로 대상에서 제외됐다.

 

인천경실련은 인천이 공공의료시설 부족과 의료 격차로 ‘공공의대 설립’을 대통령 공약으로 포함한 지역임에도 현재 의대가 없다는 이유로 거점대학 자격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특히 인천대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서울대(6천53만원)의 35.6%(2천155만 원)에 불과해 비수도권 지역의 거점국립대와 별반 다르지 않거나 적다고 강조했다. 이는 정부의 인천 고등교육에 대한 역차별 논란으로 확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인천경실련은 인천 인구는 전국 3위, 지역 총생산은 특·광역시 중 2위임에도 고등교육 기반은 매우 취약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 10개 공약의 대상 학교에 인천대를 포함하고, 인천을 별도의 권역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인천경실련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인천을 별개의 1개 권역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대가 지역 고등교육과 공공의료, 지역경제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을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경실련은 유정복 인천시장과 지역 국회의원들에게도 공동 대응을 촉구하며 공공의대 설립과 고등교육 정상화를 위해 범시민운동과 연계한 정치권의 실질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