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별 지구별 아름다운별
‘우주의 신비’를 일고
전효빈 <안성 공도초등3>안성>
엄마가 대학원에서 과학을 공부하셔서 가끔씩 과학에 관한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도 해주시고 과학에 관한 쉬운 책도 여러권 사다주신다. 가끔씩 지구는 어떻게 생겼는지 나는 어디서 왔는지 궁금해 질 때가 많다. 엄마가 “책을 많이 읽는 것이 가장 큰 보물을 얻는 것”이라고 말씀하셔서 도서관에 가서 그동안 궁금하게 생각했던 우주에 관한 책들을 빌려왔다. 그 중에서 가장 재미있게 읽은 것이 ‘우주의 신비’이다. 책의 내용이 어려운 부분도 많아서 다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별의 일생과 태양의 가족 등은 평소 내가 관심을 갖고 있던 것들이라 아주 흥미진진했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이 자기 이름을 갖고 있고 그 별자리들은 농사를 짓거나 어부가 고기잡이를 하는데 이용된다니 놀라웠다. 밤하늘을 어쩌다 올려다 볼 때면 잘 보이지도 않고 그저 그런 별들이라고 생각했는데 제각기 이름을 달고 밝기도 다 다르다니 정말 신기하기만 했다. 나는 여러 별자리 중에서 겨울철 밤하늘에 보이는 오리온자리가 마음에 들었다. ‘이번 겨울에는 밤하늘을 관찰해 보고 오리온자리도 찾아보아야지’.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누가 뭐라 해도 태양의 가족이다. 태양이 거느린 9개의 별들 중에 지구만이 빛나는 초록별이라는 사실과 지구만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나는 지구별에서 살고 있는 것이 다행스럽고 자랑스러웠다. 가장 밝은 별 금성, 그리고 계절의 변화가 있다는 화성, 행성중에 가장 큰 목성은 지구의 318배라니 그 크기가 어마어마하지 않을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에는 아주 많은 별들이 있고 그 중에는 이름 없는 별들이 더욱 많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별들도 태어나고 죽는다는 사실이다. 나는 별들은 늘 그 자리에서 어제와 똑같은 별이 오늘도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별이 태어나서 죽는 일생을 거친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아름다운 초록별인 지구도 언젠가는 없어지는 것일까? 그리고 태양은 지금 한창 젊은 나이라고 하는데 태양도 언젠가는 없어질까?
아직도 궁금하고 알고 싶은 내용이 아주 많다. 과학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내가 사는 지구별, 초록별, 아름다운 별을 아끼고 사랑하고 잘 지켜야겠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