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에서 통계라는 말은 자주 사용된다. 정부에서 생산하는 통계 중에서 작물생산량 통계는 시간과 노력, 비용을 들여 정확하게 얻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통계중의 하나이다. 이 결과는 정부 입장에서는 농산물 수급 등의 정책자료로, 생산자에게는 안정적인 생산 의욕을 고취시키는 작물별 소득자료로, 소비자에게는 식생활 향상을 위한 정보로, 국제적으로는 비교통계를 위한 자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효용이 높고, 중요한 통계인 작물생산량 통계가 어떻게 얻어지고 있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개선할 점은 없는지 살펴보자.
10월 8일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평택 안중 간 38번 국도변 논 들에서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에서 개최한 쌀 생산량 시연회가 경기도 관내 농업인단체대표, 시군구청 및 농협 등 유관기관 관계관, 대학교수, 언론사 기자 등 많은 사람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작물생산량 통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이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일 것이다
작물생산량 표본설계는 1974년 유엔 한국 고문단의 표본설계전문가인 M.P.Jha에 의해 만들어 졌으며 이후 농업기반 및 작물재배 여건변화 등을 반영하여 1985년과 1995년에 서울대학교 통계연구소 교수들에 의해 재설계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목표오차와 자료의 특성에 맞는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각 작물의 생산량 조사를 위한 표본수가 결정되며 표본을 조사할 장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통추출하는데, 이렇게 과학적으로 정해진 장소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10a당 생산량이 산출된다. 이에 기초하고 전국적인 경지면적조사에 의해 얻어진 경지면적을 이용하면 전국 농작물 생산량통계가 산출된다.
이러한 작물생산량 통계를 기반으로 각 시도의 농업부문 예산 분배나 기상재해로 인한 대규모 농업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정부의 보상이 정해지고 있는 등 국민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조사과정과 통계를 작성하는 방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며, 시연회를 통해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시켜 줄 필요도 있다.
이로 인해 농업 통계에 대한 신뢰도 및 사회적인 관심과 전반적인 통계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이 높아 질 수 있다.
통계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의 인식 그리고 필요성에 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통계의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기존의 통계 사용에 추가하여 자연재해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과 경작지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 생산량 증대 노력에 의한 생산량 증가 등 생산량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파악. 그 영향력을 분석한 모형을 만들어 장기적인 생산량 수급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공표하는 등 통계의 활용을 늘리려는 노력과 더불어 더욱 정확한 통계를 얻는 노력을 해야 한다.
생산자인 농민들은 조사결과가 미치는 영향을 누구보다도 잘 인식하고 정확한 조사를 위하여 조사원들에게 최대한의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얻어진 통계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소득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유관기관과 단체 그리고 전문 통계인 들은 이들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이렇듯, 여러 주체가 서로 협력하고 노력할 때 더욱 정확한 통계가 얻어지고 그 효용성 또한 극대화 될 것이다.
/신기일.한국외국어대 정보통계학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