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효심 갖기 운동

21세기는 농업문명, 산업문명에 이어 소위 정보문명의 시대라 말한다. 우리에게 삶의 질을 높여주고 편리한 생활과 풍족한 삶을 제공해주고 있다. 반면에 공동체 생활의 붕괴와 가족주의 해체의 현상을 낳는 심각한 부정적 사회문화 구조를 안고 있다.

그러한 모순된 사회 구조 속에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부모를 무시하는 일들을 자주 직면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상황을 빚 대어 효 빈곤의 시대요 인간 존엄성 상실의 시대라 한다. 예전에 어느 목사님께 들은 이야기다 “효도는 흉내만 내어도 좋다” 는 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은 기억이 난다. 옛날 조선시대에 임금이 서울을 떠나 개성을 방문했을 때 일이다.

그 지방에 임금이 행차하게 되면 방을 붙여 임금행차를 알리게 된다. 그 소문을 전해들은 병석에 있는 한 어머니가 아들에게 당부를 한다. 백성으로 임금의 용안을 멀리서나마 보는 게 나의 마지막 소원이다. 그러자 아들은 어머니를 업고 20리 길을 걸어 임금님이 지나가는 길에 서서 어머니가 볼 수 있도록 임금님을 기다린다.

결국에 어머니는 임금님을 보게 되었고 임금님 또한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기특히 여긴 임금님은 그 아들에게 쌀 1섬과 금100냥을 상금으로 주었다.

이 소문을 들은 한 불효자는 자기도 어머니를 업고 임금님이 행차하는 곳으로 갔다. 임금님은 저 사람에게도 금 100냥을 주라고 지시한다. 그러자 주변사람들이 만류한다. “ 저 사람은 벌을 주어야 합니다. 저자는 상금이 탐이 나서 억지로 어머니를 업고 온 것입니다”. 그러나 임금님은 “효도는 흉내만 내어도 좋은 것이다 ”하고 상금을 주었고 나중에 이 불효자는 진정한 효자가 되었다 한다.

우리는 이 삭막한 효 빈곤의 시대에 효도 흉내내기라도 하도록 교육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부모님과 어른들에게 인사할 때 “효도하겠습니다.” 말하는 가운데 효심이 싹트는 것이요, 그 효심이 효 실천으로 이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원 산하의 각 중, 고등학교에서는 인사를 “효도하겠습니다” “효도합시다” 라고 오랜 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입에서 나오는 말로 효도 의미를 되새기고 효 실천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효심 갖기 운동이 아니겠는가.

정보화 문명에서 상실 될 수 있는 인간의 존엄성을 우리는 효 실천을 통해 회복 시켜야 한다.

/김재경.경민대학 교무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