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경기대사태 해결방안

경기지역의 명문인 경기대학이 지금 내홍을 겪고 있다.

경기 구성원들의 지혜와 슬기를 어떻게 모으느냐에 따라 임시 이사가 파견될 것인지의 여부가 금명간 판명되어질 것 같다. 지난 4월 27일 손종국 총장이 교수 임용비리로 검찰에 구속된지 4개월이 다 되어간다. 손 총장은 구속과 더불어 총장직을 사임하였다. 그리하여 학교는 후임총장을 추대하기 위하여 서둘러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를 가동시켰다. 그리하여 8월 16일에는 주요 일간지에 교외인사 총장후보 공고를 내고 또 그 날부터 교내 교수들도 3일간 등록을 받았다.

문제는 비대위의 정통성 문제로 학생들은 일찍이 이를 문제삼아 탈퇴하였지만 과연 이렇게 구성된 이 기구에서 만들어 놓은 총장선출방안이 얼마만큼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총장 유고로 인한 비상사태에 교협(교수협의회)과 같은 교수사회를 대표하는 기구가 반드시 참석이 되어야 했고 나아가서 미래와 세계로 나아가는 선진대학의 대의명분을 위해서라면 더욱더 최소한의 교협교수의 참여는 허용되어야 했음에도 기존의 교무위원회가 주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를 배제하였다. 그리하여 이렇게 만들어진 이 기구가 우리는 처음부터 얼마만큼 학교개혁의 의지를 견지하면서 맡은 바 소임을 성실히 수행해 갈 수 있을지에 대해 애초부터 의문을 가졌던 것이다.

바로 그러한 우려가 비대위의 구성원들이 그동안 많은 수고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기존의 사립학교법에 의해 재단이 선호하는 인물로 총장을 임명하는 것과 아무런 차이도 없는 신임 총장 선출 방식을 내놓고 만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제의를 하고자 한다. 지금부터라도 교협과 학생들이 참여하는 대화기구를 만들어 경기의 전 구성원이 지지하고 존경을 받는 학내외의 인물이 민주총장으로 선출될 수 있도록 독려해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학교의 민주화가 경기구성원들의 지혜와 슬기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우리 모두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현 재단과 비대위의 정세판단의 미숙과 대학개혁 의지의 결여가 원인이 되어 불미스럽게도 외부세력의 개입에 의해 경기대 사태가 해결되는 것으로 된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그들에게 있다는 것을 차제에 분명하게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이라도 현 사태의 위기를 극복해갈 수 있도록 수구보수 세력들의 총장 출마를 포기시키고 더 이상 기득권에 연연하지 않도록 이상적인 대화기구를 통하여 더욱 더 구체적인 방안을 창출해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명실공히 깨끗한 이미지의 민주인사가 경기의 새 총장으로 선출되도록 함으로써 반세기가 넘는 경기학원의 전통과 역사를 두고 경기인 스스로의 자율적인 힘으로 충분히 이끌어갈 수 있다고 하는 것을 내외에 천명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국가인 만큼 현재의 재단은 그 틀의 정통성은 유지하면서도 뼈를 깍는 자성을 통하여 거듭나는 노력을 다 해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 학교의 행정은 차제에 개혁의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을 중심으로 하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21C 대학으로 우뚝 솟을 수 있도록 환골탈퇴의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

/노 태 구 경기대 정치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