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필승 코리아”는 2002년 한반도의 남녘에서 울려 퍼졌던 월드컵 응원가이다. 이 노래가 젊은 세대는 물론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온 국민을 하나가 되게 만들었다. 전국의 광장을 메운 거대한 인파 속에서 모든 차이는 사라지고 온갖 갈등도 자취를 감추었다. 해방 이후 최대 인파가 운집했던 거리응원을 통해 온 국민은 실로 오랜만에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지난 월드컵에서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일심동체가 되어 새로운 광장축제문화를 만들었다. 인간적인 것으로부터 멀어져가는 도시공간에서 광장문화는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만들어주었다. 이 소중한 경험을 살려야 한다. 사회가 살아 움직이려면 마음이나 몸이 서로 통해야 한다.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면 겉말과 속말의 차이가 줄어든다.
2006년 6월. 한반도 모든 광장뿐만 아니라 유럽의 광장 곳곳은 꼭짓점 댄스의 물결로 넘쳐 날 것이다. 2002년 월드컵이 ‘대~한민국’을 외치면서 한민족의 저력을 보여 주었다면, 2006년 월드컵은 ‘꼭짓점 댄스’를 외국인들과 함께 추면서 글로벌 시대 문화의 중심에 대한민국이 있음을 자랑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꼭짓점 댄스는 단순한 춤 이상의 함의를 지니고 있다.
꼭짓점 댄스는 월드컵 공식 응원 춤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래서 젊은 국회의원 몇 사람과 월드컵 응원열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꼭짓점 댄스를 배우고 추자는 행사를 국회에서 추진하고 있다. 꼭짓점 댄스를 일부 언론에서 ‘춤바람’으로 비하하며 조롱하는 것은 난센스이다. 국회마당에서 꼭짓점 댄스를 추는 것을 비하하는 것은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를 구분 짓는 잘못된 인식의 발상이다. 이에 뒤질세라 일부 정치권에서도 장단을 맞추고 있다.
국회 꼭짓점 댄스는 신바람 정치를 국민들에게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월드컵 관심과 열기를 고조시키는데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국회에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꼭짓점 댄스를 추는 것조차 정치적 색안경을 끼고 곡해하는 것은 월드컵 응원단에 대한 모욕이다. 꼭짓점 댄스는 독일 월드컵을 맞아 춤바람이 아니라 신바람이 전국에서 일고 있는 한국적 현상이며 축구를 사랑하는 마음이 녹아 있다.
힘내라 KOREA.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안 민 석 국회의원 (열린우리당·오산)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