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업에 대하여

김경배 화성농업기술센터 소장
기자페이지

최근 소득 수준 향상과 더불어 식품 안전성과 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소비자 운동이 선진국들은 물론 개도국에서도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런 추세에 부응해 유기 농산물과 친환경 농업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도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이젠 단순 먹거리 생산이 아닌 안전하고 건강에도 좋은 고품질을 요구하는 시대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 의식조사 결과 농산물 구입시 농약 처리여부와 원산지, 유전자 조작 등 안전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즘 유기 농산물 매출은 늘고 있지만 아직도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와 이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많지 않은 건 일반 재배 농산물에 비해 가격부담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그래도 친환경 농업은 비껴갈 수 없는 농업의 대세이다.

하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해선 여러가지 제약들이 따른다. 생산자 입장에서 농산물 안전성에 치중하다 보면 관행농업에 비해 생산량이 줄어 경영수지가 악화되고 수확량을 높이려다 보면 농약과 비료의 유혹을 떨쳐 버릴 수 없다. 게다가 천연퇴비나 액비 등을 제조·사용하는데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부속장비 설치에도 추가 비용과 노동력 등이 요구된다. 흔히 화학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유기농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퇴비 등으로 사용되는 축산 부산물에도 각종 항생제와 살충제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심하기 어려우며 무엇보다 친환경 농업에 대한 정확한 시험결과나 정립된 재배기술이 미흡, 농업인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은 도매시장에서 경매되지 않고 있다. 그만큼 유통경로가 제한적이고 개별 농가가 판로를 뚫어야 하는 고충도 따르며 생산량이 적어 물류비 부담도 만만찮기 때문이다. 앞으로 생산자들이 제 값을 받고 팔 수 있도록 다품목 주년 생산을 위해 재배지나 생산지를 집단화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 소비자들의 친환경 농산물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유통 경로를 다양화한다면 친환경 농산물 판매를 보다 확대해 나갈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최근 중국은 산둥성 일대에 대규모 친환경 재배 단지를 조성하는 등 품질과 안전 위주로 생산 정책 방향을 돌리고 있으며 친환경 농산물 소비가 늘고 있다. 화성시는 올해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축산 농가 미생물 배양 공급, 가축분뇨 자원화, 지력증진을 위한 겨울철 녹비작물 재배 등을 통해 악취제거는 물론 경종과 축산이 연계되는 자연 순환농업 추진을 확대한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친환경 농업만이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김경배 화성농업기술센터 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