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한 실내에
찬 기운이 스며드는 창 틈,
아침이 되어도
너에게 안부를 묻지 못하는
그 틈새에서 불내가 난다.
너와 나의,
그리움과 그리움이
건널 수 없는
아침이 있다.
깨금발로도 닿을 수 없는 곳에
네가 있다.
결핵처럼 응어리진 사연 속으로
아침이 쏟아진다.
슬픔처럼, 기쁨처럼
들썩이다가
햇살의 기울기를 따라 고이는
아침을 마신다.
<시인 약력> 충남 부여 출생 / 시집 ‘세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곱사춤’ ‘호두껍질’ ‘데칼코마니’ 등 다수 / 한국문인협회·국제펜클럽 한국본부·경기시인협회 회원 / (사) 평생교육진흥연구회 교육원장, 아주대 등 출강 시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