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이상 고양·김포·인천 중구 집중… 용인 최다 물량 과다공급, 인근 신도시·보금자리주택에 밀려
건설사들이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 종료를 맞아 지난해 말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를 쏟아내면서 발생한 미분양 상당수가 특정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역은 용인 수지구와 고양 일산서구, 인천 중구 등으로 지역 수급현황을 고려하지 못한 ‘묻지마 분양’과 인근의 인기 신도시 및 보금자리주택과 경쟁하면서 참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3일 국토해양부와 도내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경인지역 미분양 아파트 2만3천864가구 중 60% 이상인 1만4천503가구가 용인과 고양, 김포, 인천 중구에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의 경우 미분양 아파트 1만9천325가구 중 60.2%에 달하는 1만1천644가구가 용인과 고양, 김포에 집중된 가운데 용인의 미분양 아파트가 4천678가구로 가장 많았다.
특히 수지구의 미분양 물량 3천129가구 중 S건설이 시공한 아파트 569가구가 미분양 되는 등 총 2천355가구가 성복동을 중심으로 쏠림 현상을 보였다.
도시개발사업과 삼송지구 개발이 진행 중인 고양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 식사지구 등 도시개발사업지가 있는 일산 서구와 동구는 각각 2천988가구와 611가구에 이르는 등 총 4천615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았다.
한강신도시의 타이틀로 수요자들의 기대치가 높았던 김포시는 2천351가구가 미분양을 기록하면서 ‘악성’이란 꼬리표를 달게 됐다.
게다가 인천 역시 1~3순위 청약에서 대규모로 미달됐던 영종하늘도시 7개 사업장에서 2천760가구가 미분양을 기록했으며, 인천 중구가 2천859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같은 특정지역 미분양 사태는 수요를 감안하지 않고 막무가내로 물량을 풀어낸 것과 관련이 깊다는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분양이 가장 많은 용인 성복동 아파트는 인접한 광교신도시에 분양시장을 빼았겼고, 고양과 김포는 ‘반값 아파트’로 불리는 인근 보금자리주택에 우선순위를 넘겨 줬다는 것이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이처럼 특정지역에 몰린 미분양분은 정부의 양도세 한시적 감면 등 특단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팔리지 않았다”며 “당분간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