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파행, 도민 눈으로 해법 찾아야

경기도의회의 파행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 9월1일 열린 본회의는 한나라당 의원들이 본회의장 점거 농성을 시작함으로써 파행을 겪었다. 이후 경기도의회 의장의 중재로 농성을 해제하고 정상화를 합의했다. 그러나 다시 한나라당은 의장 불신임안 제출 및 사퇴 요구와 모든 의사 일정 불참 등을 결의했고, 민주당은 한나라당의 불참 속에서 상임위와 도정질의 등 의사 일정을 강행하고 있다.

 

7월에 벌어진 원구성을 위한 본회의 파행, 8월의 교육위원장 선출 및 4대 특위구성 파행에 이어 9월에는 한나라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을 점거하더니, 정상화를 합의한지 며칠도 지나지 않아 반쪽의회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파행의 책임이 서로 상대방에 있다고 주장한다. 경기도의회 의장도 당사자의 하나가 되었다. 현재의 상태만 보면 파행은 장기화할 듯하다. 현재와 같은 갈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은 도민의 눈높이로 경기도의회를 돌아보는데 있다.

 

지금 경기도의회의 파행 원인은 도민들의 삶과 아무 상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원구성 및 교섭단체 간의 책임 공방이 주를 이룬다. 도민의 관심사도 아니고 도민을 설득할 명분도 전혀 없는 그들만의 소모적 공방으로 서로를 비난하고 있는 것이다. 왜 경기도의회가 존재해야 하는가, 도민들이 경기도의회에 무엇을 바라는가를 철저히 돌아봐야 한다.

 

도에는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 아무 조건 없이 도의회를 정상화해 태풍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과 교육청이 제출한 무상급식 예산 심의, GTX의 타당성 검토, 도 조직 개편안 등 도민들의 관심사에 대해 의회 차원의 해결책을 조속히 찾아야 한다. 그러면서 차분히 정치적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경기도민의 기대와 바람을 저버리는 지금과 같은 사태가 장기화된다면 경기도의회는 존립할 의미가 없다. 도민들 사이에는 세금이 아깝다는 여론이 확산될 것이다. 경기도민의 기대와 바람을 저버리는 의회와 의원은 물을 떠난 물고기에 다름 아니다. 조건 없이 도의회를 정상화해 먼저 도민의 삶을 돌보면서 파행을 마무리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박완기 경실련 경기도協 사무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