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다가왔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는 속담처럼 가을 수확철의 넉넉함이 담겨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기자도 어린시절뿐 아니라 어른이 되어서도 ‘추석시즌’만 되면 맘이 둥둥 뜨면서 명절의 기분을 한껏 만끽하곤 했다. 이런 이유에는 추석이 다가오면 들판에 오곡이 무르익고 과일들이 영글면서 만물이 다 풍성해지는 결실의 계절 분위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어린시절에는 쏠쏠한 명절 용돈이 생겨 1년 중 제일 부자행세를 한 추억이 있었고, 어른이 되어선 이웃이나 지인 간에 주고받는 작은 정성에 훈훈함이 더해진 부분도 추석 명절의 한 시나리오였다.
그런데 올 추석을 맞는 주부, 회사원, 중소기업인, 농민 등 각계각층의 대다수 서민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예전의 추석분위기를 좀체 찾아볼 수 없다. 들뜬 분위기는커녕 추석이 귀찮기라도 한 듯 풀이 한껏 죽어 있는 상태다.
올 들어 되풀이된 혹한에다 혹서, 메가톤급 태풍까지 몰아치면서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황폐해진 농촌 들녘과 배추, 무, 사과, 배 등 장바구니 물가가 하늘을 찌를 정도로 상승하는 것을 보고 있자면 사실 그 누구도 추석이 왔다고 해서 웃음을 머금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명절은 명절이다. 천만명이 넘는 민족 대이동이 이뤄지고 대부분이 설레는 마음으로 부모나 친척이 있는 농촌으로 향한다. 그리고 점점 힘들어하는 농촌현실을 보고 무거운 발걸음으로 돌아오게 된다. 농자재 비용도 나오지 않는 쌀값에서부터 어떤 작물을 재배해도 수익성이 없는데 농사꾼이 땅을 그냥 둘 수 없어 또 씨앗을 뿌린다는 이야기에 가슴 뭉클해 진다.
어쩔 수 없는 농촌현실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농민들은 유통문제만 나오면 분노한다. 정부가 야속하기만 하다. 대형할인점에서 3천원짜리 배추를 팔 때도 농촌에서는 1천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 땀흘려 지은 농산물의 소득이 농민에게 돌아가지 않고 있지만 개선될 기미가 없다.
추석을 앞두고 농축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바구니 물가가 크게 오르지만 고질적인 병폐인 복잡하고 낙후된 유통체계로 농민과 소비자 어느 누구도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도매상과 경매 과정을 거친뒤 중도매인을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복잡한 유통구조가 그 원인으로 평균적인 농축산물 소비자가격 중 55.9%는 유통비용·마진으로 파악될 정도다.
수출이 급증하고 있는 화훼류의 경우도 고정 거래처 부족과 과도한 유통마진 등 낙후된 수출구조로 농가 실익이 없다는 아우성이 곳곳에서 들리는 등 농·축산업을 중심으로 경제전반 곳곳에서 유통상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라도 난맥상을 보이고 있는 유통구조 개선을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 채택해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최근 우리 사회에 던져진 가장 큰 화두는 ‘공정한 사회’로 연일 공정성 신드롬이 불고 있다. 특히 총리 및 장관 후보자들이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면서 연이어 낙마하고, 외교통상부 장관 딸 특혜채용건까지 발생하면서 공정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하지만 공정성에 대한 화두가 정치인과 고위 공직자 등 사회지도층 인사들에게만 집착(?)됐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실질적으로 서민들의 피부에 직접 와닿는, 경제 전반적으로 공정 바람이 불어 대대적인 수술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번 추석에 가장 절실한 공정사회는 일한 만큼 농민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유통구조를 공정하게 만들어가는 일인지도 모른다. 며칠 앞으로 다가온 추석날 떠오를 밝디밝은 보름달처럼 투명한 ‘공정한 경제’가 뿌리내려 모두가 환하게 웃을 수 있는 명절분위기를 느꼈으면 한다.
이용성 경제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