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냄새·지가하락 등 이유 집단민원·소송 농가들 “현대식 축사마저 기피 마을서 퇴출위기”
양평지역 곳곳에서 축사를 신축중인 축산농가와 냄새·지가하락 등의 이유로 이를 저지하는 주민들 간 갈등이 첨예해지면서 축사건립 자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일부 축사건립을 저지하는 주민들은 집단민원과 행정소송까지 불사하면서 인허가 절차에 문제가 없는 축사마저도 위기를 겪는 등 축산농가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 마진배마을 A씨는 지난 9월 자신이 운영하는 기존 우사 인근에 439㎡ 규모의 우사를 추가 건립했다가 주민들과 심한 갈등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최근 군에 탄원서를 내고 “주민불편 우려가 있는 환경오염시설이 마을 한복판에 허가가 난 사실에 분노한다”며 “인허가를 취소하라”고 집단 반발하고 있다.
지평면 월산4리 주민들도 이같은 일로 군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벌이고 있다.
축산농가 B씨는 지난 4월 양평군 지평면 월산4리 507 일대에 부지면적 3천589㎡, 건축면적 1천300㎡ 규모의 젖소 축사에 대한 인허가를 마치고 공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같은 마을 주민 40여명은 축사 신축부지가 마을 진입로인데다 악취와 지하수 오염 등으로 인한 지가 하락 등 삶의 터전에 큰 피해를 준다며 47명이 연명한 진정서를 제출한데 이어 지난 8월 “인허가를 취소하라”며 행정소송을 진행중이다.
또 개군한우로 유명한 개군면 내리에서도 축산농가 C씨는 지난 해 말 3천151m² 규모의 우사를 신축했다가 소송을 당했다.
축사를 반대하는 주민들은 “기존의 축사는 어쩔 수 없다치더라도 1천평이 넘는 우사가 주택단지 앞에 또 다시 입지하는 것에는 참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한 축산농가는 “명품 한우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축산농가가 마을의 천덕꾸러기로 낙인되고 있는 현실”이라며 “인허가에 문제가 없는 현대식 축사마저도 기피하는 주민들로 인해 농촌에서의 축산업도 이미 퇴출위기를 맞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군 관계자는 “양평지역에서 축사건립 문제로 주민간 갈등을 벌이고 있는 마을이 6~7곳에 달한다”며 “적법한 절차에 의한 축사 인허가에 대해 현재로서는 방법이 없는 것이 고민”이라고 말했다.
양평=조한민기자 hmch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