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개발, 도로개설, 재건축, 숲 가꾸기 사업 등 각종 개발사업장에서 불가피하게 베어지거나 버려진 나무들이 우리 주변에 많다.
1995년 경기도 산림면적이 55만1천360㏊에서 2008년 통계에 따르면 52만7천314㏊로 13년만에 2만4천46㏊(7천286만평)에 달하는 면적이 사라지고 있다.
또 우리나라 도시민들의 1인당 생활권 도시림 향유면적이 국제보건기구 WHO가 권고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경기도는 7.35㎡의 면적을 보여 우리나라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무분별한 개발로 수목면적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나 아직도 각종 공사 현장에서 알게 모르게 버려지거나 개인 땅에서 관리 소홀로 죽어가는 나무들이 많아 안타깝다.
지자체들마다 재개발이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갈 곳 잃은 나무들을 폐기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하려는 노력들이 ‘나무은행’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버려진 나무가 공공녹화 등에 단비가 되고 있다.
25개 자치구가 있는 서울시의 경우 11개 자치구가 나무은행을 운영 중에 있으며,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 인천, 대전시가 이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전남이 21개 지역에서 나무은행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경우는 화성시, 하남시, 경기농림진흥재단 등 3곳에서 나무은행을 운영 중에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지자체들이 갈 곳 잃은 나무를 더 이상 골칫거리로만 생각지 않고, 저탄소녹색성장 시대를 맞아 탄소흡수원으로서 나무의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점 그리고 일정규격 이상의 성목을 수급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하지만 상당수 자치단체에서는 예산확보나 인프라 구축의 어려움 탓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으며, 체계적 운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제도 및 예산지원을 할 수 있는 법제도 및 예산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나무은행’은 각종 개발로 버려지는 나무를 기증받아 공공시설녹화사업에 분양, 재활용해 자원의 절약과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환경시대의 대표적인 사업으로서 중요성을 가지므로 많은 도민의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다.
민기원 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