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문화원 파행 운영 유감

군포시와 군포문화원의 힘겨루기가 점입가경이다. 시는 지난 21일부터 신규 건립된 군포문화원사에 공무원 5명을 파견, 직영에 나섰다. 지난해 사법기관으로부터 공금횡령 건으로 벌금형을 받은 원장과 사무국장이 여전히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직영은 문화원 운영권자의 ‘부적절성’이 배경이다.

 

그러나 문화원은 22일 총회를 열고 뚜렷한 결론없이 회의를 접었다. 기존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원장과 사무국장 등은 구 문화원사에 근무하게 된다.

 

문화원은 지역의 전통문화 발전과 주민 문화 욕구를 충족시키는 문화 본령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시는 매년 2억원의 예산을 사업비와 인건비 조로 지원하고 있다. 그런 문화원이 머리가 두 개인 꼴이 된 셈이다. 사업 부진은 주민들의 문화 향유권을 박탈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최근 ‘형이 확정된 날로부터 원장은 자격이 상실되고 사무국장은 징계위원회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시에 회신했다. 앞서 ‘사무국장 징계건’을 부결 처리한 문화원 이사회 결의가 무효라는 의견도 첨부했다. 문화원이 표결권이 없는 감사와 협력이사 등 3명을 표결에 참여시켰다는 이유다. 지역 문화원의 상급이랄 수 있는 연합회의 요지는 군포문화원 운영에 심각한 흠결이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파행 운영되는 문화원 정상화가 당분간 쉽지 않다는 점이다. 문화원 내에서 시의 직영 방침에 찬반의견으로 갈려있기 때문이다. 직영에 법적 대응을 검토하자는 의견도 일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어떤 이유에서건 사법적 판단을 뒤엎을 수 있는 명분이 없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시민 혈세로 운영돼온 기관이 본분을 팽개치고 자존심 싸움에 연연하는 모습도 민망하다. 문화원은 그동안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를 해왔다. 그 칭송을 이어갈 수 있을지, 지금이 분수령(分水嶺)이다.

 

이정탁 군포 주재 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