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력

몸져누운 어머니의 예순여섯 생신날

 

고향에 가 소변을 받아드리다 보았네

 

한때 무성한 숲이었을 음부

 

더운 이슬 고인 밤 풀여치들의

 

사랑이 농익어 달 부풀던 그곳에

 

황토먼지 날리는 된비알이 있었네

 

비탈진 밭에서 젊음을 혹사시킨

 

산간 마을 여인의 성기는 비탈을 닮아간다는,

 

세간 속설이 내 마음에 천둥 소낙비 뿌려

 

어머니 몸 닦아드리다 온통 내가 젖는데

 

겅성드뭇한 산비알

 

열매가 꽃으로 씨앗으로 흙으로

 

되돌아가는 소슬한 평화를 보았네

 

부끄러워 무릎을 끙, 세우는

 

어머니의 비알밭은 어린 여자아이의

 

밋밋하고 앳된 잠지를 닮아 있었네

 

돌아갈 채비를 끝내고 있었네

 

 

우리들의 고향은 어머니 뱃속이다. 한때 ‘더운 이슬 고인 밤 풀여치들의 사랑이 농익어 달 부풀던 그’ 뜨거운 대지에서 우리는 태어났다. 그러니 우리는 어머니라는 이름의 대지의 아들 딸들이다. 우리들은 그 어머니라는 대지의 자양을 빨아먹고 살았다. 그렇게 젊음을 혹사시킨 끝에 늙어버린 어머니의 황량한 비알밭을 훔쳐본 젊은 시인은 생성과 소멸의 순환 원리를 자연의 이법에 기대어 읽는다. 씨앗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어찌 죽음이라 말하랴, 어머니는 이제 새로운 생산을 위해 돌아갈 채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황토먼지 날리는 된비알밭 넘어 ‘어린 여자아이의 밋밋하고 앳된 잠지’처럼 머지않아 푸른 숲으로 싹을 틔울, 그 멀고 먼 당신의 대지로.  <이덕규 시인>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