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구제역 매몰지 옆 벼농사 논란

이천시가 가축매몰 두수가 적은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유공관을 임의로 제거해 말썽(본보 11일자 1면)을 빚고 있는 가운데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소를 매몰한 논 바로 옆에서 벼농사가 이뤄지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이 매몰지는 폐사한 가축을 한꺼번에 묻은 곳이 아니라는 이유로 지자체의 관리대상에도 빠져 있어 매몰지 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다.

 

이천시 대월면의 한 소 축사 앞 3천㎡ 논 가장자리에 바로 붙어 있는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가 벼가 심어진 논으로 흘러들어 갔는지 확인할 수 없었지만, 유해성 논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었다.

 

특히 이 매몰지 바로 옆에는 비닐 등을 이용한 별다른 경계막조차 없이 벼농사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 매몰지에는 관리담당 공무원의 이름 등 없이 ‘구제역과 관련해 한우 45마리를 매몰했으며, 앞으로 3년간 발굴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적힌 이천시장명의의 경고 표지판이 서 있었다.

 

이 경고판은 매몰 시기와 매몰지 관리 공무원 등이 자세히 기록된 다른 구제역 가축 매몰지 경고판과 비교해 언뜻 봐도 허술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농장주 A씨는 “한우 600여 마리를 키우다 올해 2월 구제역 여파로 큰 소 34마리와 송아지 11마리를 11차례에 걸쳐 살처분해 이곳에 묻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최대한 신속하게 매몰하라는 것이 정부 방침이었기 때문에 살처분한 소를 묻는 게 우선이었다”며 “매몰하면서 비닐을 여러 겹 까는 등 조치를 했기 때문에 인접한 논에 피해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천=류진동기자 jdyu@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