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마을이 보인다. 억눌렀던 마음은 고향 풀벌레의 화음만으로도 술술 풀리는 실타래처럼 가볍기만 하다. 숲과 농원을 껴안은 고향마을엔 잠시 잃어버렸던 웰촌의 향수를 다시 피어오르게 한다.
불현듯 어릴 적 추억 속의 내 고향 추석풍경이 떠오른다. 집집마다 전지지는 냄새는 마을을 진동시키기에 충분했다. 모처럼만의 풍요에 어린마음에도 마냥 설레던 기억이 난다.
가족 친지와 함께 차례를 지낸 다음 성묘를 마친 뒤 또래 아이들과 철없이 뛰놀던 황금들녘, 뒷동산 대나무를 잘라다가 곱줄을 달아 피라미를 낚던 개울천, 동구 밖 코스모스밭에서 술래잡기하던 중 탐스럽게 익은 조롱박을 따다가 들켜서 술래가 된 일이 생각난다. 보름달이 떠오르는 밤이면 골목골목마다 아이들이 웃고 떠드는 소리가 합창이 될만큼 온종일 즐거운 소리로 가득했다.
그런데 올핸 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농업인들이 시름에 빠져있다. 얼마 전 엄청난 양의 폭우가 쏟아져 많은 사람을 공포에 떨게 하고 많은 농작물 침수 피해를 내더니 또 다시 태풍 ‘무이파’로 인해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갈수록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퇴색돼가는 오늘날의 추석 풍속도가 고향 마니아들에겐 더없이 인생무상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그렇지 않아도 초국적 자본의 힘에 눌려 쌀 개방이 현실화된 처지에서 내 고향 농촌의 미래는 어둡기만 하다.
그러나 대다수의 국민은 쌀 개방이 앞으로 우리에게 가져올 재앙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특히 햄버거를 즐겨 먹는 디지털세대는 쌀의 가치를 알려고 하지 않는다.
이제 농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농가의 생활과 농촌의 장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어떻게 아름답게 만들고 풍요로운 환경을 보전할 것인가. 앞으로 농촌을 찾는 도시민을 예전처럼 반길 수 있을지 정말 막막하기만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오늘날 ‘추석 풍속도’는 ‘경종’을 울리고 있다.
하지만 마음의 고향, 농촌을 포기할 단계는 아니다. 앞으로 농촌은 새로운 도전과 더 없는 고통과 더 많은 인내가 동반되는 싸움터이기도 할 것이다. 고향마을의 추석전통과 옛 문화를 올바르고 가치 있게 재창조하기 위해서는 명절 때만이라도 내 고향 농촌을 열심히 찾아야 한다.
옛말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한가위는 한 해 동안 피땀 흘려 지은 대가로 수확의 기쁨을 맞이하면서 이웃끼리, 마을사람들끼리 기쁨을 함께 하고 농사의 풍성함만큼이나 마음의 여유로움과 풍성함을 느낄 수 있는 날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추석 명절때가 돼서야 뒤를 돌아볼 여유를 찾는다. 고향이 그리워지고 과거를 고마워한다. 그래도 그 때가 좋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과거의 전통을 되살리고자 하는 노력들을 하게 되는데, 그것이 복고주의고, 행동으로 표출된 것이다.
올 추석의 따스한 정을 우리 농산물로 주고받음으로써 미풍양속의 계승 발전은 물론 우리 농업을 지키는 데도 큰 힘이 되었으면 한다.
/강근태 농협중앙회 김포시지부 부지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