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경쟁력의 원동력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의 양적인 감축은 물론이고 질적 개선까지 목표로 하는 대학 구조개혁 정책을 어느 때보다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2010년 우리나라 교육통계에 의하면 대학을 포함한 고등교육기관이 411개교이고 재학생은 360여만명에 이르고 있다. 반면 대졸자 취업률은 평균 50%대에 불과하다. 또한, 2010 IMD 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은 조사대상 56개국 중 국가경쟁력은 23위인데 반해, 대학경쟁력은 46위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이와 같은 우리 대학의 객관적 지표들로 볼 때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 정책은 늦은 감도 없지 않다.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 추진에 편승해서인지 우리 언론들도 대학평가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물론 전 세계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언론이 국내외 대학을 평가하고 순위를 발표함으로써 일반인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학평가가 언론이라는 거대권력을 이용한 상업주의의 전형이라는 비판과 더불어 평가순위와 대학의 진정한 경쟁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란은 차치하고라도 평가의 기준이나 지표 등과 관련해 대학의 반발과 논쟁 또한 만만치 않다. 정부의 구조개혁 대학 선정 때도 그러했던 것과 마찬가지다.

 

구조개혁의 대상 선정 기준이나 언론기관들의 대학평가 기준으로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연구실적 등 주로 정량적 평가지표들을 활용하고 있는데, 문제는 대학 경영자들이 이러한 평가 순위나 결과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보니 대학 본연의 사명인 교육과 연구·봉사라는 역할보다는 단기적으로 평가지표를 올리는데 전념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대학구성원들의 반발은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교수들도 ‘대학은 진리의 상아탑’이라는 고전적 개념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한 예로 대졸자의 실업문제는 우리 사회 최대의 현안이 되고 있으며, 그나마 취업자들도 직무능력이 부족하여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 기간으로 평균 20.3개월, 1인당 평균 교육비는 6천218만원이 소요된다고 하니 진정한 교수의 모습과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한다.

 

대학의 순위나 경쟁력에 대한 각종 평가기준이나 방법들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보편적으로는 어느 정도 타당성을 지니고 있기에 그러한 평가를 마냥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대학의 진정한 경쟁력은 정부나 언론기관들과 같은 외부의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대학 구성원 특히 교수들의 교육과 연구의 성과나 질 제고를 위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이 선행될 때라야만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박동삼 인천대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