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서 관찰 시신경 이상 증세 선천적 아닌 성장과정서 변형”

분당 서울대병원 김태우 교수팀, 세계 첫 발견

근시 눈에서 관찰되는 시신경의 이상이 선천적인 것이 아닌 성장과정에서 시신경 모양이 변형되며 발생한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김태우 교수팀은 2003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병원을 방문한 17세 이하 근시인 어린이 118명의 시신경을 추적 검사한 결과, 51명(43%)의 어린이들이 7~10세 사이에 시신경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근시 환자는 선천적으로 취약한 시신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에 따르면 근시가 있는 환자들 중 43%가 7~10세 사이에 시신경 모양이 일부 사라지거나 뒤틀리는 시신경 변형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시에서 녹내장이 잘 생기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발견한 것이라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 근시가 발생하면서 시신경이 변형되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가 오랫동안 축적되면서 시신경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 결국 녹내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어린 시절부터 근시를 예방하는 생활 습관을 기른다면 신경 손상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고, 근시로 인한 녹내장까지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시신경 이상 예방 및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태우 교수는 “4세 전·후 어린 시절부터 일주일에 최소 10시간 이상 야외활동을 하는 생활습관을 기른다면 근시 발생정도를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신경이 녹내장에 취약해지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지난 2일 안과 분야 최고 학술지인 Ophthalmolgy의 표지논문으로 채택돼 발간됐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