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대형마트 상생의지 가져야

대형마트가 지역과 상생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서로 입장을 존중하며 마주앉아 서로 살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인천시의회는 지난해 ‘인천광역시 유통법 상생협력 및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안에는 지역 내 전통시장과 시민단체도 오래전부터 주장해 오던 대기업의 지역발전에 기여와 지역생산 상품 납품 확대, 공사발주 시 지역업체 참여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 대형마트의 취급 품목을 제안하자는 의견도 다수 있다.

 

문제는 대형마트가 이러한 방안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선 전통시장이 경쟁력을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상생하자고 제의하는 것은 상생이 아닌 일방적인 지원이라고 주장한다. 상인들이 지자체나 기관 등에만 의지하면서 스스로 변화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실제 지난해 한 지역 일간지에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소비패턴 조사에 따르면 전통시장의 시급한 개선사항으로 ‘주차장 확보(24.8%)’에 이어 ‘상인들의 서비스 정신 개선(17.0%)’을 꼽았다. 또 ‘카드거래시설 마련(17.0%)’, ‘무료배송 서비스 마련(8.8%)’ 등과 같이 소비자들을 위한 준비들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통시장 등과 같은 상인들의 변화 노력도 있어야 하지만 중요한 것은 ‘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대형마트의 ‘통 큰 양보’가 있어야 지역과 대형마트가 상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의무휴일과 관련된 논란도 대형마트가 수용하면서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형식적이 아닌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상생협의회’의 운영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지역경제가 살기 위해서는 소비자인 주민들의 의식적인 소비 형태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전통시장 상인들을 위한 동정이 아니라 공정한 거래와 투명한 생산자거래(착한 소비)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 습관을 개선하고 의식적으로 지역의 물건을 우선 구매하도록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철 인천산업진흥협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