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안산국제거리극축제 개·폐회식 작품 모두 공중극 선정… 3일간 200여회 공연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안산국제거리극축제가 개·폐막식 작품을 모두 공중극으로 선정하고, 공연·예술 축제와는 거리감이 있는 체험 행사까지 진행돼 작품 선정에 좀 더 신중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3일 간 200개에 이르는 작품이 공연을 준비하고 있어 관람객들이 공연작품을 선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지 않겠느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8일 안산예당과 시민 등에 따르면 안산예당은 오는 5월 4일부터 3일 간 총 8억원의 예산을 들여 고잔신도시 광덕로 25시 광장에서 ‘거리의 색·동·감(色·同·感)’이라는 슬로건으로 제8회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진행한다.
이번 거리극축제 행사에는 해외 및 국내 공식극단 11개, ASAFringe 16개, Street Campus 6개, ASAFutures 17개, 특별공연팀 5개 등 66개 팀의 193개 작품이 야외 무대에 오른다.
그러나 이번 축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개·폐막식 작품이 모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 작품으로 선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두 작품 모두 공중 퍼포먼스 장르인데다, 폐막작인 아르헨티나 작품인 ‘비상’의 경우 타악이 빠지는 것 이외에 개막작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는 점 때문이다.
또한 축제 시작날인 5월 4일에는 주간 38회, 야간 13회 등 51회의 공연이, 5일에는 주간 55회, 야간 15회 등 모두 70회 공연이, 그리고 마지막 날에는 주간 63회, 야간 9회 등 72회 공연이 준비되고 있어 과다한 공연 일정으로 관객들이 작품 선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도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밖에도 특별공연으로 선정된 작품들의 선정 기준이 모호한 점과 많은 부대행사 가운데 소방 및 과학체험 등 공연예술축제와 어울리지 않는 행사가 포함된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시의원 “축제가 8회째를 맞은 만큼 이제는 양적인 것보다 질적인 면에 더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라며 “사무국을 상설화하지 않은 채 축제가 있을 때만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어 축제가 짜임세 면에서 아쉬움이 따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산예당 관계자는 “개·폐막식 작품은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예술성 높은 작품으로, 타악이 있고 없는 것 역시 차이가 크다”며 “지난해 공연수가 적다는 지적이 있어 다양한 작품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많은 작품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