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재정난 이유 장기 방치…땅주인들 “재산권 침해” 거센 반발
안산시가 개인 사유지를 포함한 320여만㎡를 유원지 부지로 지정한 뒤 재정여건 등을 이유로 10여년 넘도록 개발계획 등을 수립하지 않은 채 방치해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토지주들은 시청을 항의 방문한데 이어 시장면담을 요구하고 나섰다.
16일 시와 단원구 대부도 유원지 지구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1년 4월28일 단원구 대부북동 1865의18 일원 구봉지역 54만420㎡와 대부남동 메추리 일원 98만2천919㎡, 선감동 일원 178만6천996㎡ 등 총 3개 지역 32만6천335㎡를 유원지 부지로 결정했다.
이 가운데 구봉유원지의 경우 별다른 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채 10년이 넘도록 개발계획을 세우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지난해 유원지 개발방향과 적정규모 판단을 위해 사유지가 가장 많은 대부동 일대 사업부지에 대한 관광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이어 올해 초 유원지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으나 안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2020 기본계획과 맞물리면서 현재 용역이 중단된 상태다.
상황이 이렇자 구봉유원지 등 부지 소유주 10여명은 이날 안산시를 항의 방문, “10여년째 도시계획시설상 유원지로 지정돼 있어 일체의 개발 행위가 제한되는 등 심각한 재산권 피해를 입고 있다”며 “유원지로 개발을 하든지 아니면 재정상 어려움이 있다면 폐지를 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최근 해당부서에서 도시계획 관련 부서에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 폐지 내용을 담은 문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기본계획 용역이 중단된 이유가 무엇이며 언제 다시 시작할지” 등에 대해 따져 물었다.
특히 주민들은 “이는 주민들의 재산권과 관련이 있는 사안인 만큼 시가 좀 더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입장에서 개발이든 폐지든 조속한 시일내에 결정해 줬으면 한다”며 시 차원의 대책을 호소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2020 기본계획을 반영시키기 위해 용역을 중단 시킨 상태”라며 “시민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서 추진하고 있으나 시간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