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한 문제의 지역 제외
제보한 문제의 지역 제외 건설사 찍어준 곳만 발굴 주민 “토양샘플 부실” 항의
‘미군기지 확장공사 폐기물 불법 매립 의혹’을 조사하고 있는 평택시(본보 16일 1면)가 관련 1군 건설업체들로부터 매립지점을 통보받고 굴착기까지 지원받아 발굴해 업체를 감싸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는 관련 공무원이 토양채취를 하면서 오염된 흙과 오염되지 않은 흙을 섞어 샘플을 채취하다 주민에게 적발돼 심한 항의를 받기도 했다.
18일 시와 시의회조사특별위원회에 따르면 평택시는 3개 1군 건설업체로부터 사토매립지역 100곳을 통보받고, 사토처리업자가 폐기물을 불법 매립했다고 주장하는 38곳에 대한 제보도 받았다.
그러나 시는 지난 14~16일 굴착기를 동원해 땅을 파 폐기물을 확인하면서 16곳 가운데 1곳을 제외한 15곳을 1군 건설업체들이 주장하는 지역에서 확인했다.
사토처리업체가 주장하는 곳은 토지주들로부터 동의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뒤늦게 이같은 사실을 알게 된 사토처리업자가 시에서 굴착동의를 받지 못했던 토지주의 승인을 얻어 발굴에 나서 나무뿌리 등 임목폐기물과 돌, 시멘트 구조물 등을 발견했다.
또 굴착기 기사가 건설업체의 지시만 받자 시의회가 굴착기를 시에서 조달해 줄 것을 요청하는 광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앞서 지난 15일 오성면 창내리 매립지에 대한 토지오염도 조사에서 시청 공무원이 오염된 흙과 오염되지 않은 흙을 섞다가 주민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시의원들은 “주한미군 평택 이전은 시민들의 희생으로 이뤄졌는데, 이로 인해 농지가 산업폐기물로 오염된다면 미군기지 이전을 다시 생각해봐야 할 때”라며 “폐기물 불법매립 의혹을 철저히 밝혀 관련자를 찾아내 원상복구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토양채취는 토양의 상·중·하의 흙을 섞어 시료를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방법에 따랐을 뿐”이라며 “제보자의 의견과 지주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