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멈춰선 버스대신 택시 무료 운행 버스정류장에서 인근 전철역까지… 전세버스관용차량도 동원
경기도가 버스 총파업에 대비해 도 전역에서 택시를 무료로 운행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경기도는 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포함하는 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한 것에 반발, 무기한 버스 운행 중단을 예고함에 따라 22일 자정부터 버스운송사업조합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한다고 2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파업을 예고한 경기지역 버스업체는 시내 55곳(1만371대), 시외 16곳(1천684대)이다.
도내에서는 하루 506만명이 시내·외 버스를 이용하고 있어 버스운송사업조합 파업 시 도민들이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원시, 고양시 등 대도시뿐만 아니라 김포시와 포천시, 양주시 등 전철 구간이 없는 시ㆍ군의 경우 출근 대란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22일 자정부터 도 교통건설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도는 비상수송대책본부에서 시ㆍ군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도는 버스 총파업에 대비, 택시부제를 전면 해제하고 도 전역에서 택시를 무료로 운행한다.
22일 무료로 운행되는 택시는 개인택시 2만5천639대와 법인택시 1만475대 등 총 3만6천114대로, 무료 운행 구간은 버스정류장에서 인근 전철역까지이다.
개인택시는 파업 종료 때까지 매일 오전 6~10시, 법인택시는 22일 하루 오전 6~10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법인택시 운수종사자는 무료로 운행해도 근무시간이 인정되며 연료비는 회사가 부담한다.
또 도내 전세버스와 공공기관의 관용차량을 활용, 가까운 전철역으로 시민을 수송한다.
도는 현재까지 전세버스 566대와 관용차량 20대를 확보, 시ㆍ군별 주요 거점에서 시민 수송에 나서며, 전세버스와 관용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도민들은 경기도 콜센터(120)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메트로 등과 협의해 경기지역을 거치는 전철 운행 횟수와 시간도 늘릴 계획이다.
강승호 도 대중교통과장은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조해 수송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 만큼 자가용 함께 타기에 적극 동참하는 등 성숙한 도민의 모습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김창학ㆍ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