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기원 김연상 교수팀 친환경 패치형 압전 에너지수확소자 개발

일상적 신체활동인 무릎, 팔꿈치 등 관절의 움직임을 안전하고 손쉽게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윤의준)은 김연상 교수 연구팀이 용액형 무기물 압전반도체를 이용해 반복적으로 감거나 휘는 환경에서 안정적인 압전 특성을 나타내는 패치형 압전 에너지수확소자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압전 에너지수확소자는 주변에 존재하는 진동이나 인체활동 중 발생하는 반복적인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모성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무한히 변환할 수 있는 자가 발전체이다.

또한 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안정적 공급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김 교수는 “저가의 원료물질을 이용해 공정비용이 높고 복잡한 압전 에너지수확소자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줬다”며 “향후 의류형 압전패치나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패치형 압전 에너지수확소자 신기술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재료과학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트리얼즈(Advanced Materials)‘ 최신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