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교육장, 서한문 이어 이번엔 파주시 비난 간담회

교육문제를 정치공학적 성토대회로…

파주교육지원청이 파주시와 대화를 단절하고 시의 교육지원 시책을 비난하는 서한문 등을 발송해 물의(본보 89일자 10면)를 빚고 있는 가운데 김문성 파주교육장이 또 다시 시 교육시책을 비난하는 간담회를 주도해 파문이 커지고 있다.

10일 파주시의회와 파주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파주교육지원청은 지난 9일 시의원 3명과 경기교총 파주시지회장, 전교조 파주지회장, 일선학교 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파주교육 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당초 파주시의회 임현주 기획행정위원장의 요청으로 서한문 등 시와 마찰을 빚고 있는 문제에 대해 시의원들과 김 교육장의 면담 형식으로 열릴 예정이었다.

시와 마찰 해법위한 시의회 면담요구에 간담회 역제안

김 교육장 초청 참석자들 “시청 간섭말고 예산만 줬으면…”

교육청 “전문가와 함께 교육발전위해 폭넓은 의견 교환”

그러나 김 교육장은 시의원들과의 면담 형식이 아닌 간담회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고 시의원을 제외한 간담회 참석자들은 김 교육장이 선정했다. 김 교육장이 간담회에 초청한 참석자 대부분은 교육 관련 단체 등으로 이뤄졌다.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시청은 예산만 줬으면 좋겠다, 간섭만 있고 상호 존중이 없다”는 등 시의 교육정책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간담회에 참석한 일부 시의원은 “앞으로 무상급식을 위해 적극 투쟁하겠다, 혁신교육의 목적은 평등교육 이다”고 주장하며 시의 교육정책을 비난해 무상급식 확대 범위를 놓고 시작된 시와 교육청의 갈등을 정치적 문제로 비화시켰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간담회를 요청한 임현주 위원장은 “당초 최근 빚어지고 있는 시와 교육청간의 갈등과 교육현안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면담 요청을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간담회는 전문가들을 배석시켜 폭 넓은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참석자들을 선정했으며 갑작스런 일정으로 시 관계자들에게는 연락을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김 교육장은 자신이 위원장으로 있는 교육발전위원회 회의에 1년6개월 동안 단 한 차례만 참석했으며 서한문 논란 이후 의견 조정을 위한 파주시 문화교육국장 등 시 관계자의 면담 요청을 일절 거부하고 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