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권광역소각장 열판매 표류 장기화

“수익금 전액 이천시 귀속을” 일부 운영위원 반대 부딪혀 한해 15억원 허공에 날려

SK하이닉스와 연계하는 동부권 광역자원회수시설(이천 광역소각장) 열판매 사업이 일부 반대 의견에 부딪혀 장기간 표류하고 있다.

특히, 열판매로 얻을 수 있는 연간 15억원에 달하는 수익금이 고스란히 누수되는 결과로 이어져 사실상 예산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일 이천시 등 관계자에 따르면 이천시를 비롯한 여주, 양평, 광주, 하남 등 5개 시·군은 1년 전부터 광역소각장 열판매 방식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열판매 방식 전환은 동부권 광역소각장에서 생활쓰레기를 소각해 발생하는 폐열로 스팀(중기)을 만들어 10.2㎞ 떨어진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까지 연결, 판매하는 방안이다.

광역소각장에서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까지 연결되는 열배관 설치 등에 필요한 250여억원(추정치)은 SK하이닉스 측이 부담하는 대신 스팀판매 대금의 일부를 투자비로 회수하는 방법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1t당 처리비용이 6만원에서 4만1천원으로 줄어 연간 15억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 그동안 5개 시·군이 부담해 온 운영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5개 시·군 관계자와 주민 등으로 구성된 광역소각장 운영위원회는 열판매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위험 부담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따라 현지시찰 등 전문가 의견까지 청취해 사실상 열판매 사업 확정을 앞둔 상태였다.

그러나 5개 시·군 관계자와 주민 등으로 구성된 광역소각장 운영위원회 소속 일부 이천시 위원들이 반대 의견을 제기하면서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이들의 주장은 연간 15억원 규모의 수익금 전액을 이천시에 귀속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최근 이천시의회도 이같은 내용의 공문을 이천시에 전달, 사실상 사업을 가로막고 있는 형국이다.

이천시의회 관계자는 “사업 결정권이 없는 의회 공문은 건의 차원이지 강제권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합리적인 방법으로 풀어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근 A시 관계자는 “사업 추진을 독려해야 할 이천시 일부 관계자들이 오히려 사업을 가로막고 있어 이해 할 수 없다”면서 “예산절감 차원에서라도 하루 빨리 사업이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천시 호법면 안평3리 11만4천644㎡ 부지에 들어선 광역소각장은 이천시 등 5개 시·군이 공동으로 설치, 지난 2008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5개 시·군이 부담하는 연간 운영비는 48억여원으로 시·군당 10억여원에 달하고 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