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주요 특성으로 시장지배력이 현저하고 지속적인 성장세, 뛰어난 생존력, 성공적인 기업이지만 결코 단기간에 이룬 기적이 아닌 상당한 업력을 지닌 기업 등을 들고 있다.
독일의 경우 1990년대 중반까지 ‘유럽의 병자‘로 불렸으나, 2000년대 들어 ‘40-80클럽(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 인구 8000만명 이상인 국가)’에 가입하면서 글로벌 리딩국가로 발돋움 했는데, 그 이면에는 1천500개가 넘는 히든 챔피언 기업들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히든 챔피언 기업들 덕분에 독일은 2004년부터 8년 연속 1천억 달러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를 내는 유일한 선진국이며, 선진 G7 국가 중 1인당 GDP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다.
우리나라의 현실은 사뭇 다르다. 한국 중소기업의 효율성은 세계 50위권에 머물고 있으며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주요국 기술무역수지배율은 0.33으로 세계 25위 수준이다. 국가 전체로 볼 때 중소기업의 부가가치와 생산액 비중(5인 이상 제조업 기준)은 2010년 기준 47%대에 불과하며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는 2010년 기준 5천100만원으로 대기업 1억 4천500만원의 35%에 불과하다.
독일, 미국과 같은 선진국은 중소기업의 효율성이 오히려 대기업보다 높으며 둘 간의 격차가 크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소기업-대기업 효율성은 그 격차가 크며, 국가별 비교에서도 독일의 53.8%, 미국의 59.7%에 그친다.
중소기업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대·중소기업 간 효율성 격차가 적을수록 국가 경쟁력이 높음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가 선진 일류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선택과 집중’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경기도는 반월·시화공단 등의 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하여 파주·포천 등 북부권, 오산·평택 등 남부권에 골고루 중소기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300인 이하 중소 제조업체의 35%가 존재하는 곳이다. 또한 국내 우수 대학이 입지하고 있어 우수한 인력이 존재하며, 인천공항·평택항·인천항 등 물류 인프라 역시 우수하다.
이러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잘 활용한다면 기존 중소기업을 ‘세계적 강소기업’으로 육성할 개연성이 충분하다고 보여진다. 다만 기술고도화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사업화, 연구개발 등에 충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한데, 국내 기술금융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부분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올해 총 24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경기도형 강소기업(G-star기업)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마케팅 등 가치사슬상 전 분야에 걸친 지원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이 세계적 강소기업으로 거듭나도록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사전기업진단을 통한 상향식 사업진행, 경기중기센터·경기테크노파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등 전문기관의 공동사업수행, 기업지원한도 상향 등 사업추진체계 혁신을 단행했다. 그 결과 기업진단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분야를 지원할 수 있을 전망이며, 이는 곧 세계시장에서 통하는 기술력을 가진 강소기업들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면서 국가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장 영 근 경기도 기업정책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