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인근 보호관찰소, 생각하기도 싫다”

성남 야탑1동 주민 등 반발 학부모, 市에 이전 저지 촉구 기피시설 전락 ‘13년째 전전’

성남보호관찰소가 임차계약 만료를 앞두고 초등학교 인근으로 이전을 추진하자 지역주민들이 등교 거부 움직임을 보이며 반발하고 있다.

성남시 분당구 야탑1동과 중원구 여수동 주민, 인근 초등학교 학부모 등 300여명은 20일 성남시를 방문, 시청사 앞 중원구 여수동 한 건물로 성남보호관찰소가 이전하는 것을 막아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왕복 4차로 도로를 사이에 두고 학교와 아파트단지 건너편에 보호관찰소가 들어서는 것은 초등학교 자식을 둔 부모로서 불안하다”며 “주민들과 학부모들은 법무부에 반대 서명부를 제출하고 학생 등교 거부까지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남보호관찰소는 지난 2000년 수정구 수진2동 건물을 임차해 개소한 이후 주민 기피시설로 지목, 독립 청사를 마련하지 못해 13년째 주변 건물을 전전하고 있다.

2005년 5월 분당구 구미동 23의 3 일대 옛 재정경제부 땅을 양도받아 2009년 이전을 추진했지만 주민 반대에 부딪혀 이전을 못했으며 2010년 5월에는 구미동 부지와 야탑3동 135의 1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부지의 맞교환을 추진하다가 주민 반발로 역시 무산됐다.

이처럼 타 지역으로의 이전이 무산되자 성남보호관찰소는 최초 입주 건물 주변 수진2동에서만 세번 이전했다.

그러나 2011년 9월 기존 건물 맞은편 건물을 임차하자 주민들은 “건물을 매입해 아예 영구적으로 자리를 잡으려 한다”며 집단행동을 벌였다. 이에 따라 성남보호관찰소는 수진2동 건물 임차계약이 오는 9월 만료돼 그 이전에 새 둥지를 찾아야 한다.

성남보호관찰소 관계자는 “서울이나 수원보호관찰소도 학교와 아파트단지에 둘러싸여 있지만 문제가 발생된 적이 없다”며 “수용시설 아닌 범죄예방 시설이고 대다수가 단순 과실범으로 그나마 방문자는 하루 30∼40명 정도”라고 말했다.

한편, 성남보호관찰소는 성남·광주·하남지역 1천400여명의 보호관찰대상자를 관리하고 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