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소장직도 공석’ 농업기술센터 어찌하오리까?

의정부 농지ㆍ농업종사자 줄어 통폐합 거론도… “조직 재정립으로 활로 찾아야”

의정부시가 농업지도관이 맡아온 농업기술센터 소장 자리를 3년째 발령을 내지 않고 다른 부서 일반행정직이 겸직하도록 하는 등 농업기술센터를 ‘홀대’ 하고 있다.

특히 시의 이같은 조치로 농업기술센터 직원들의 사기 저하는 물론 농업기술센터가 구심점 없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어 행정환경 변화에 맞게 조직을 재편해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 1963년 의정부시 농촌지도소로 출발한 농업기술센터는 농촌지도, 농업기술보급 등을 주 업무로 해왔으나 의정부지역의 농지와 농업종사자가 크게 줄면서 존폐 논란을 겪었다. 지난 2009년 6월 민선 4기 김문원 시장 당시 통폐합이 거론됐지만 13명의 농촌지도직 가운데 4명을 구조조정하는 선에서 그쳤다.

이후 민선 5기 안병용 시장 취임 후인 지난 2010년 9월 농업기술센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지역경제과 농축정 업무와 통합·일원화하려 했으나 의회와 지역농민 관련 단체가 반발하면서 무산됐다.

이후 조직개편을 미루면서 소장을 발령하지 않고 행정직인 공원녹지과장이나 지역경제과장 등이 겸임토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농촌지도직 7명을 포함한 16명의 직원들은 센터가 통·폐합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승진과 전직이 사실상 막히면서 사기가 크게 떨어져 조직의 생산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의정부지역 농업인 단체 한 간부는 “농지와 농민이 줄고 농업의 비중이 떨어졌다고 해서 농업기술센터를 없애거나 통·폐합하는 것은 안 된다”며 “먹을거리와 식량안보 차원은 물론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농업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조직을 재편해 도시농업에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은희 의정부시의원도 “농업은 이제 문화와 예술, 교육, 치유가 결합한 새로운 생명산업이 되고 있다”면서 “농업기술센터도 이같은 변화에 걸맞게 바꿔 조직과 기능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그동안 수렴한 각계의 의견을 토대로 지역경제과와 농업기술센터로 이원화된 농업행정을 일원화하는 방안 등 조직 개편안을 오는 10월 중에는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53520@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